건강한 흡연자 4명중 1명 폐기종 보유
상태바
건강한 흡연자 4명중 1명 폐기종 보유
  • 김명원 기자
  • 승인 2011.02.21 13: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흡연자에 비해 비율 10배 높아, 금연해도 폐기능 감소

건강한 흡연자 4명 중 1명이 폐기종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김영균(호흡기내과)·심윤수(건강증진의학과) 교수팀은 2008년 10월부터 2009년 6월까지 평생건강증진센터에서 폐기능검사와 저선량흉부CT를 시행한 274명을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정상폐기능을 가진 건강한 흡연자(191명)의 25.6%(49명)에서 폐기종이 발견됐다.

비흡연자(83명)의 2.4%(2명)에서 폐기종이 발견된 것 보다 약 10배 이상 높았다.

폐기종은 폐포(허파꽈리)와 이곳에 공기가 통하게 하는 작은 세기관지가 늘어나 탄력이 없어진 고무풍선처럼 늘어져 제 기능을 못하게 된 상태를 말한다. 결국 폐기능이 저하되어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원활하게 바꾸어주지 못해 기침, 가래, 호흡곤란이 생긴다. 연구팀은 흡연과 폐기종에 따른 폐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흡연군(131명)과 금연군(60명, 6개월 이상 금연)의 폐기종 유무로 나눠 2년간 FEV1/FVC(1초간 강제호기량/강제폐활량 비율), FEF 25∼75%(강제호기유량)을 비교했다. FEV1/FVC 정상치는 70% 이상이며, FEF 25~75% 정상치 60% 이상이다.

그 결과 폐기종 있는 흡연군의 경우 FEV1/FVC가 84%에서 80%로, FEF 25∼75%는 96%에서 90%로 감소했다.

폐기종이 없는 흡연군도 FEV1/FVC는 84%에서 81%로, FEF 25∼75%는 97%에서 91%로 감소해, 폐기종과 흡연 모두 폐기능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반면 폐기종이 없는 금연군의 FEV1/FVC와 FEF 25∼75%는 첫 측정결과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폐기종이 있는 금연군의 FEV1/FVC는 81%에서 76%로, FEF 25∼75%는 91%에서 83%로 감소했다.

또한 FEF 25∼75%의 1년간 감소율을 예측한 결과 폐기종이 있는 흡연군은 4.4%, 폐기종이 있는 금연군은 4.2%로, 폐기종이 없는 흡연군은 1.1%로 나타났다.

즉, 폐기종이 있는 흡연자는 금연한 후에도 폐기종이 없는 흡연자에 비해 폐기능의 악화가 진행된 것이다.

또한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의 혈액내 호산구 분획률과 백혈구수,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이 증가돼 있어 전신적인 만성 염증상태를 보였다.

호흡기내과 김영균 교수는 “이번 연구는 건강한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흡연과 폐기종의 발생빈도, 폐기종에 따른 폐기능 감소를 확인한 연구결과.”라고 밝혔다.

특히 김 교수는 “한번 파괴된 폐는 다시 건강해질 수 없다. 폐기능 악화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금연이 매우 중요하며, 폐기종이 있는 흡연자의 경우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에서 발간하는 학회지에 지난 2010년 9월에 게재됐다.

한편, 연령이 증가하며 정상적으로 폐활량의 감소가 나타나는데, 이미 폐기능 떨어진 폐기종을 포함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폐기능이 더욱 떨어지게 되고, 흡연 시 급속히 폐기능이 악화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