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및 CDC 전문가와 협력 방안 논의
상태바
WHO 및 CDC 전문가와 협력 방안 논의
  • 최관식 기자
  • 승인 2015.06.23 19: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복지부, 고위급 대표단 5명과 함께 신종감염병 전면 개선방안 마련키로
보건복지부는 최근 방한한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질병통제센터(CDC) 고위급 전문가들로부터 신종 감염병에 대비한 새로운 방역체계를 마련하는 데 있어 필요한 자문을 받고,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6월23일 밝혔다.

이번에 방한한 고위급 대표단은 총 5명으로, WHO 측은 실비 브라이언드(Sylvie Briand) 범유행전염병 국장, 박기동 서태평양지역사무처(WPRO) 국가지원전략국장, 그리고 WHO 자문관으로 활동 중인 영국 공중보건청 브라이언 맥클로스키(Brian McCloskey) 국제보건국장이며, 미국 측은 질병통제센터(CDC) 스티븐 레드(Stephen Redd) 공중보건대응국장, 보건부(DHHS) 홀리 웡(Holly Wong) 국제협력국장이다.

이 가운데 스티븐 레드 공중보건대응국장은 미국 CDC의 에볼라 대응팀 선임자문관(Senior Advisor)으로 활동한 바 있다.

대표단은 24일 대통령이 주재하는 ‘감염병 대응체계 개편방향 및 국제공조방안’ 토론회에 참석할 예정이며, 26일 한국 전문가와 구체적인 방역체계 개편방안을 논의하고 복지부 장관에게 자문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국내·외 전문가와 함께 신종 감염병에 대비한 방역체계를 근본적·종합적으로 점검해 전면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며, 또 오는 9월7∼9일 서울에서 개최 예정된 ‘글로벌 보건안보구상(GHSA) 고위급 회의’ 등을 통해 WHO와 미국 CDC를 포함한 국제 공조체계 강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