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후 여성 흡연 뼈 건강에 악영향
상태바
폐경후 여성 흡연 뼈 건강에 악영향
  • 김명원 기자
  • 승인 2013.04.24 10: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많이 피울수록 골밀도 감소

폐경 후 여성이 담배를 많이 필수록, 골밀도가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김형렬․명준표 교수팀은 2008년부터 2009년 사이 20세 이상 폐경 전․후 여성 4천260명을 조사한 결과, 폐경 후 흡연여성의 소변 중 코티닌(니코틴의 대사물질)이 많을수록 대퇴골두, 대퇴골, 요추의 골밀도가 낮은 것을 확인했다.

폐경 후 흡연여성의 대퇴골두, 대퇴골, 요추 각각의 골밀도와 소변중 코티닌 간의 회귀계수(변량 상호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회귀방정식)는 -0.006, -0006, -0008로 확인 (P<0.05)됐다.

소변 중 코티닌의 농도가 높다는 것은 흡연량이 많다는 뜻으로, 흡연량이 많아 질수록 골밀도가 감소한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또한 연구팀은 여성 흡연자 설문조사의 민감도가 50%이하로, 소변검사를 통한 흡연율과 큰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유교사상이 남아있는 아시아 지역의 여성에게 담배는 부정적인 의미로 생각하기 때문에 흡연 사실을 숨기거나 흡연량을 속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흡연과 골밀도의 상관관계에 논란이 있었으나, 이번연구를 통해 흡연이 폐경후 여성의 뼈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소변검사를 통해 흡연량을 계산해 골밀도와 코티닌의 용량 반응 관계를 확인했는데, 이번처럼 대규모 흡연집단을 대상으로 객관적인 연구는 처음이다.

산부인과 김미란 교수는 “우리나라 여성 폐경 연령이 49세 전후이며, 갱년기 여성은 난소에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분비가 감소되면서 골밀도가 급격히 낮아져 골다공증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폐경이후 더욱 각별한 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직업환경의학과 김형렬 교수는 “골밀도 감소를 예방하는 여성호르몬이 유지되는 폐경 전 여성에 비해, 폐경 후 여성이 흡연을 하면 골밀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이 확인됐으므로, 적극적인 금연 권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골다공증학회지(Osteoporos International)’ 4월호에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