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약가인하, 제약산업 뿌리째 흔들릴 수도
상태바
[국감]약가인하, 제약산업 뿌리째 흔들릴 수도
  • 전양근 기자
  • 승인 2011.10.07 07: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산중단, 구조조정 우선 고려
보험재정, 제약산업 발전정도 고려 신중 추진을

정부약가인하 조치로 제약회사들은 일부 의약품의 생산중단과 인력구조조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약가 인하시 자구책으로는 제품구조조정, 생산원가 절감, 판매관리비 축소, R&D투자 축소, 인력구조조정 등 다양한 정책을 계획하고 있으며 특히 원가절감 대책으로 저가원료로의 변경이나 OEM 방식 등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희목 의원이 제약협회를 통해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약가인하 방안이 실시 될 경우 생산중단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힌 회사는 31개사 중 30개나 됐다.

9월21〜28일까지 실시된 설문조사에 제약협회 회원사 190개사 중 31개사(16.0%)가 응답했다.

이들 30개사의 보험의약품 3천747개 품목 중 생산중단 고려 품목은 687개 (18.3%)였으며 이가운데 퇴장방지의약품 112개 품목(16.3%)이 포함되어 있다.

생산중단을 고려한 이유로는 △약가 인하시 생산원가 인상으로 수익성이 악화되어 낮은 마진 또는 손실이 발생 △시장성 없는 품목을 우선적으로 생산중단 등을 들었다.

약가인하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개별 기업이 계획하고 있는 자구책은 제품구조조정(25.5%)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저가원료사용이나 OEM 전환 등을 통한 생산원가 절감(22.3%), 광고 선전비, 복리후생비 등 판매관리비 축소(16.0%), R&D 투자축소(12.8%),인력구조조정(10.6%) 순이었다.

생산원가 절감 대책으로 제약기업들은 저가 수입원료로 변경, 제조경비 축소, OEM 방식으로 전환, 인건비 절감, 제품구조조정을 꼽았다.

31개 제약기업 중 인력 구조조정을 계획하고 있는 회사는 10개사(32.3%)였다. 10개 기업의 총 종업원은 7천283명이며 이중 1천251명(17.2%)을 구조조정 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채용에 있어선 13개 회사(41.9%)가 축소계획을 밝혔다. 이 중 8곳은 신규채용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31개사의 2010년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 비중은 평균 4.78%였는데 정부의 약가인하방안이 시행된다면 기업들은 R&D 평균 4.36%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약가일괄인하 방안 발표 후 공장의 신축, 이전, 증축 등 시설투자 또는 사업확장과 관련하여 계획을 수정한 회사는 4곳(12.9%)이었으며 고려중인 회사는 11개사(35.5%)에 달했다.

‘약가일괄인하 조치 이후 신제품 및 신약개발이 가능한가?’란 질문에는 31개사 중 무려 28개사(90.3%)가 불가능하다고 응답했으며 사유는 ‘수익성 악화로 인하여 R&D 투자가 불가능하다’가 가장 많았다.

약가인하 후 국내 제약산업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에 대한 응답으로 19개사(61.3%)가 “다국적 제약회사”라고 응답했고, 7개사(22.6%)는 “국내 대형 상위제약회사가 주도할 것”이라고 답했다.

설문결과 분석을 통한 정책제언에서 원 의원은 “시장환경과 산업여건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무리한 약가인하 정책을 시행할 경우 약제비가 오히려 증가돼 국민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며 “보험재정 안정화와 국내 제약산업 발전 정도를 충분히 고려해 약가인하 정책을 신중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