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판매 중지 약, 191만개 시중에 방치
상태바
[국감]판매 중지 약, 191만개 시중에 방치
  • 전양근 기자
  • 승인 2011.09.26 08: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희목 의원, 위해의약품 신속 회수시스템 구축 필요

판매 중지된 ‘위험하고 효과없는 약’들이 판매 중지 이후에도 여전히 시중에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원희목 의원(한나라당)에게 제출한 ‘판매 중지 의약품 품목별 공급현황’ 에 따르면, 올 7월말 현재, 식의약청이 판매 중지한 비만치료, 아토피 피부염, 소염 및 거담제 등 3개 성분 의약품 71품목, 총 191만5천441개가 도매상 등을 통해 약국과 의료기관으로 공급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중 184만4천371개는 약국으로, 7만1천70개는 의료기관으로 공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제약회사들이 판매 중지 조치를 수용한 것으로 보아, 이처럼 약국이나 병원으로 공급된 판매중단 의약품들은 도매상 등에 있던 재고품으로 파악된다.

심장발작과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비만치료제 시부트라민은 판매중지와 회수 결정(2010.10)이 내려진 뒤인 2010년 11월〜2011년 7월 ‘리덕틸캅셀’ 등 25개 제품 2만4천210개가 약국과 병원으로 공급됐다.

심각한 알레르기 유발을 이유로 판매 중지된 부펙사막(2010.11)은 올 1〜7월 아토클리어연고 등 7개 제품 27만3천249개가 공급됐고, 소염, 거담 등의 약효가 입증되지 않아 판매 중지 및 회수조치된 세라티오펩티다제(2011.3)는 올 4∼7월 단 4개월 동안 무려 161만7천982개가 약국, 병원에 공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세라티오펩티다제는 유일한 보험급여 의약품으로 판매 중지 결정 후, 3개월 동안 총 1천079건이나 건강보험에 청구됐다.

식의약청이 판매 중지를 하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는 건강보험 급여중지 조치를 하기 때문에 처방할 때 프로그램 상에 나타나, 의사는 이 약이 판매 중지 약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되는데도 이 약을 처방하고, 보험급여 청구까지 한 것이다.
식의약청은 판매 중지 조치 당시 이들 의약품의 자진회수를 권고했으나 시부트라민의 경우, 9개월이 올 7월까지도 약국이나 병원에서 여전히 반품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식의약청 위해의약품 회수관리시스템은 생산(수입)한 제약회사가 회수대상 재고량, 반품량 등을 보고토록하고 있으나 도매상이나 약국은 협조만 할 뿐 의무화되어 있지 않아, 실질적인 회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원희목 의원은 위해의약품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회수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제약회사, 도매상, 약국까지 이어지는 회수시스템을 강화하여 우리 국민들이 안전한 의약품을 복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판매중지 의약품에 대한 정확한 실태파악을 통해 판매중지 의약품을 판매한 도매상 등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엄격히 처벌할 것을 주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