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ARPA-H 대국민 공청회 개최
상태바
한국형 ARPA-H 대국민 공청회 개최
  • 최관식 기자
  • 승인 2023.10.27 14: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 보건 난제 해결 위한 도전적·혁신적 연구개발(R&D) 지원
바이오헬스 글로벌 선도국가(First Mover)로 도약의 기반 마련

정부는 국가 보건 난제를 신속히 해결하기 위한 임무중심형 R&D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했다. 이 프로젝트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미국과 영국, 일본 등 세계 각국이 출범시킨 도전적 연구개발(R&D) 혁신체계의 일환이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10월 27일(금)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대국민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날 공청회는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생중계됐다.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넥스트 팬데믹, 초고령화, 필수의료 위기 등 직면한 국가 보건 난제를 신속히 해결하기 위해 미국의 도전혁신형 연구개발(R&D) 체계인 DARPA(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고등연구계획국), ARPA-H(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for Health, 의료고등연구계획국)를 벤치마킹해 고비용·고난도이나 파급효과가 큰 임무중심형 R&D를 추진한다.

미국은 코로나19를 거치며 기존 연구개발(R&D) 체계의 한계를 체감하고, 도전‧혁신적 연구를 중점 지원해 인터넷, GPS 등 혁신기술 개발의 요람이 된 국방성 DARPA 모델을 바이오 분야에 접목한 ARPA-H를 2022년 전격적으로 설립했다. 영국의 ARIA(Advanced Research and Invention Agency, 고등연구발명국) 설립, 일본 moonshot 프로젝트 추진 등 영국과 일본도 DARPA 모델을 도입해 연구개발(R&D) 혁신체계로 전환하고 있다.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①보건안보 확립 ②미정복질환 극복 ③바이오헬스 초격차 기술 확보 ④복지·돌봄 개선 ⑤필수의료 지역완결체계 구축 5개 분야의 도전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난도가 높지만 파급효과가 큰 도전적·혁신적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관료제를 최소화해 PM(Project Manager)을 중심으로 유연하고 신속하게 연구과제를 관리하며, 혁신적 연구성과 창출을 위해 해외 우수기관과의 글로벌 협력을 지원한다. 또 팬데믹 등 보건안보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신속히 연구개발에 착수해 대응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신속 대응 체계(Fast Track)를 구축한다.

이번 공청회는 내년부터 시작될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를 처음으로 소개하는 자리로, 임무별 연구를 총괄 진행하는 PM 선정 계획(안)도 발표해 학계, 의료계, 산업계 등 관련 전문가의 참여를 독려하고 실질적 수혜자가 될 국민의 관심을 제고하기 위해 마련됐다.

첫 번째 순서로는 미국 ARPA-H의 초대 소장인 르네 웨그진(Renee Wegrzyn) 소장의 기조강연이 진행됐다. 르네 소장은 “올해 4월, 한미 동맹 70주년을 기념으로 과학기술 분야에서 더 깊고 넓은 협력관계를 맺기로 한 것을 계기로, ARPA-H도 한국과 협업할 기회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음으로 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 바이오헬스R&D혁신TF 윤수현 팀장의‘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추진계획(안)’ 발표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추진단장 및 PM 선정계획(안)’ 발표 후 의료계, 학계, 산업계, 환자단체 등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패널토론을 진행했다.

보건복지부 전병왕 보건의료정책실장은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우리가 아직 시도해본 적 없는 방식의 혁신적 R&D 체계”라며 “이를 통해 일차적으로 필수의료 위기, 팬데믹, 초고령화 등 눈앞에 닥친 국가적 난제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나아가 바이오헬스 분야 초격차 기술을 확보하여 글로벌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차순도 원장은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의 핵심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하나의 난제 해결을 위해 나아가는 의지”라고 강조하며 “5년 후, 10년 후 완전히 변화할 국민의 삶의 질과 우리나라 보건의료 생태계를 기대해 달라”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공청회 논의를 반영해 연말까지 최종 추진계획을 확정하고, 사업의 핵심인 PM(Project Manager) 선정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