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숙 의원, “코로나 바이러스 연구 우려”
상태바
서정숙 의원, “코로나 바이러스 연구 우려”
  • 오민호 기자
  • 승인 2020.09.15 21: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코로나 바이러스 7종 중 2종만 연구용 공급
코로나19 연구 가능한 제약사 연구시설도 턱없이 부족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정부가 제약사 등에 제공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체 7종 중 단 2종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아울러 바이러스를 직접 시험할 수 있는 민간 바이러스 연구시설도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국민의힘 서정숙 의원(보건복지위원회·사진)은 9월 15일 질병관리청이 지난 2월 11일부터 9월 7일까지 총 263건의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연구용으로 분양했지만 S타입 233건, L타입 30건으로 단 2종류의 바이러스만 제공했다고 밝혔다.

서 의원은 “현재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총 7가지로 분류하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여태껏 단 2종만 연구용으로 분양하고 있다”면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기초적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우려스럽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지난 5월 이태원 클럽발 감염확산 이후 국내에서는 GH형 바이러스가 주로 전파되고 있는 상황이다.

서 의원은 “질병관리청 역시 코로나19 감염확진자 1,040명의 유전자 서열 정보를 분석해 GH타입이 67.4%로 가장 많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4.5%에 불과한 S타입과 L타입만을 연구기관 등에 계속 제공해 온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이태원 감염사태 이후 4개월이 지난 9월 15일부터 GH 등 다른 타입의 바이러스 분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서 의원은 “코로나19 종식에 필수적인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인프라 조성의 구체적인 계획 없이 미봉책에만 급급한 것은 아닌지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한편,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직접 시험할 수 있는 민간 바이러스 연구시설 부족도 문제라고 언급했다.

질병관리청이 서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직접 연구할 수 있는 생물안전 3등급(BL-3) 이상 시설은 72개(공공기관 52개, 교육기관 11개, 의료기관 7개, 민간 2개)였지만 이 가운데 민간기관은 2개에 불과했다.

특히 백신 및 치료제를 개발하는 제약회사들이 보유한 시설은 전무해, 국내 제약사들은 바이러스 관련 시험을 모두 외부에 위탁하고 있어 자체 연구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서 의원은 “질병관리청이 9월 13일 발표를 통해 민간 제약사 등 19개 기관의 시험시설 사용 신청에 대해 10곳을 허가했다고는 하지만, 해외 제약사들의 인프라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 중국 우한생물학연구소는 BL-3 시설로 백신을 직접 개발하고 있고 현재 백신 임상 3상을 진행 중인 다국적 제약사인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와 미국 화이자 역시 BL-3 수준의 시험시설을 갖추고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서 의원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질병관리청은 정부 연구과제로서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위해 총 17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나 정부의 바이오제약산업 육성에는 충분치 않아 한국의 바이오제약산업이 세계적 역량을 갖추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코로나19 발생 후 첫 국정감사인 만큼, 오는 10월 국감에서 정부의 바이오제약 산업 육성 정책을 총체적으로 점검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는 장으로 삼겠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