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강경 이용 치료가 효과 굿
상태바
복강경 이용 치료가 효과 굿
  • 박현
  • 승인 2005.09.21 08: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장ㆍ직장암 복강경 절제술 후 이음 부위 누출 때
대장ㆍ직장암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치명적 합병증의 하나인 문합부(잘라진 장을 잇는 부위) 누출이 나타났을 때 복강경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개복수술보다 복강경을 이용해 치료하는 것이 효과가 빠르고 통증도 작다는 임상결과가 나왔다.

대장전문 시범병원인 한솔병원(원장 이동근) 대장암복강경수술센터 조용걸 소장은 2001년 2월부터 2004년 7월까지 한솔병원에서 대장ㆍ직장암 수술을 받은 410명의 환자 중 문합부가 없는 환자를 제외한 377명을 대상으로 문합부 누출여부와 치료결과를 조사했다.

그 결과 24명(6.4%)에게서 문합부 누출이 나타나 이 중 증상이 경미한 11명은 보존적 치료를 실시했고, 복강내 분변의 감염이 심한 1명만 개복을 통해 치료했으며 나머지 12명은 복강경을 이용해 세척 후 회장루를 만들어 치료했다고 밝혔다.

조용걸 소장은 “개복을 통해 문합부 누출을 치료할 때는 입원기간이 보통 22일에서 33일 정도 걸리는 데 비해 복강경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평균 19.5일로 빠른 회복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조 소장은 이같은 결과를 최근 홍콩에서 열린 제7차 아시아태평양 복강경외과학회(Asia Pacific congress of Endoscopic Sugery)에서 발표했다.

문합부 누출이란 대장ㆍ직장암 절제 후 장을 이어 봉합시킨 부위에서 누출이 일어나는 경우로서 통상 수술환자의 3∼21%에서 발생하며 이 가운데 2∼22%가 사망할 수 있는 위험한 합병증이다. 문합부 누출의 전체적인 빈도는 개복수술이나 복강경수술이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복수술 후 문합부 누출이 발생했을 때는 복강내 유착 때문에 복강경을 이용한 처치가 불가능한 반면 복강경 절제술 후 문합부 누출이 있으면 치료에 복강경을 이용할 수 있어 회복이 빨라질 수 있다.

조 소장팀은 한편 이번 조사결과 문합부 누출 합병증이 성별, 종양의 크기, 문합부의 위치, 수술 중 문합부 합병증의 발생 유무와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했는데 이 내용은 지난 4월에 열린 춘계 대장항문학회에서 발표되어 우수연제 학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문합부 누출 발생률은 남성 79%, 여성 21%로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했으며 종양의 크기는 문합부 누출이 있는 환자가 평균 5.9cm로 그렇지 않은 환자의 평균치인 4.1cm보다 컸다. 암의 종류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대장암환자가 123명 중 3명(2.4%)에게서 발생한 데 비해 직장암환자는 253명 중 21명(8.3%)으로 발생률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합부 누출이 발생한 직장암 환자 21명 가운데 18명이 직장의 중ㆍ하부에 암이 생긴 환자로 파악돼 문합부의 위치가 낮을수록 누출이 더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수술 중 문합부 출혈 △직장절단면 결함 △ 공기누출검사시 양성반응과 같은 문합부 합병증도 전체 발생 환자 13명 가운데 중ㆍ하부 직장암 환자가 5명(23.8%)을 차지해 타 부위 환자들의 문합부 합병증 발생률 6.7%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