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통화 자주하면 노인우울증 ↓
상태바
전화통화 자주하면 노인우울증 ↓
  • 최관식 기자
  • 승인 2015.02.16 15:59
  • 댓글 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주대병원 홍창형 교수팀 자녀와의 소통이 큰 영향 준다는 사실 입증
자녀와 주 1회 이상 전화 통화를 하고 월 1회 이상 방문 왕래한 노인의 경우 우울증 예방 효과가 현저하다는 연구결과가 설날을 앞두고 발표돼 관심을 끌고 있다.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창형 교수팀(손상준·노현웅)이 보건복지부에서 2008년과 2011년에 시행한 전국노인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녀와 주 1회 이상 전화 통화를 하고 월 1회 이상 방문 왕래한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3년 뒤에 우울증 발생 위험이 현저히 낮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번 연구는 노인 1만3명 중 우울증과 인지 저하가 없고 자녀와 따로 사는 노인 4천398명을 대상으로 자녀와 전화연락 및 왕래횟수를 기준으로 4개 집단으로 나눠 3년 후 우울증 발생을 확인했다. 그 결과 3년 뒤 우울증 발생 위험은 자녀와 주 1회 이상 전화통화, 월 1회 이상 방문왕래를 동시에 한 집단(3천196명)보다 △주 1회 이상 전화통화만 한 집단(563명)은 44% △월 1회 이상 방문왕래만 한 집단(301명)은 49% △주 1회 이상 전화통화도 안 하고, 월 1회 이상 방문왕래도 안한 집단(338명)은 86%나 높았다.

다시 말하면, 자녀와 주 1회 이상 전화통화를 하고 월 1회 이상 방문왕래를 함께 한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3년 뒤 우울증 발생률이 36%나 현저히 감소한 것이다. 이 결과는 우울증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건들 즉 나이,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 신체질환의 개수, 자녀의 수 등을 보정한 후에도 의미있게 나타나 노년기 우울증 발생이 자녀와 전화통화 및 방문왕래의 횟수와 밀접하게 관련 있음을 입증했다.

홍창형 교수는 “우리나라는 1980년대 만해도 자녀와 따로 사는 노인이 10명 중 불과 2명뿐이었지만 2010년대에는 노인 10명 중 6명이 자녀와 따로 살 정도로 핵가족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며 “이러한 핵가족화 현상에 대해 사회가 좀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노인우울증이나 노인자살과 같은 노인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이번 논문이 노인문제 해결방법으로 ‘주 1회 이상 전화통화’ ‘월 1회 이상 방문왕래’라는 비교적 쉽고 구체적인 기준점을 제시하고 있어 노년기 우울증 감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수원시 노인정신건강센터(센터장 홍창형)의 효사상 실천 ‘111플러스 운동’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 111플러스 운동은 △1주일에 1번 이상 부모님께 안부전화 드리기 △1개월에 1번 이상 부모님과 식사하기 △1년에 1번 이상 부모님과 소풍가기를 권장하는 캠페인으로 효사상 실천을 통한 노인정신건강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원시 노인정신건강센터는 2008년부터 111플러스 운동을 시작해 그동안 시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어왔는데,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전국의 보건소나 복지관에 널리 보급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국제노인병학학술지 ‘노인병학 국제저널(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15년도 1월호에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4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Bernard 2015-04-24 23:58:13
Hello. fantastic job. I did not expect this. This is a excellent story. Thanks!

Jaime 2015-03-05 05:54:16
Thanks for writing your opinions on the topic at hand with an open mind. This subject tends to get skewed in many unusual ways so it’s good so see someone give it a good shake.

Noe 2015-03-05 05:52:48
Great blog post. I just now noticed your web site and wanted to state that I have really appreciated checking your posts.

Rick 2015-03-04 09:08:25
Great post. I just uncovered your site and wished to say that I have certainly enjoyed browsing your content.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