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 건보체납자 전액 본인부담
상태바
고소득 건보체납자 전액 본인부담
  • 최관식 기자
  • 승인 2014.06.30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복지부, 병원계의 업무부담 증가 및 환자 마찰 우려 불구 7월1일부터 전격 시행

7월부터 고소득 장기 건보료 체납자는 진료 시 전액 본인 부담해야 한다.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료를 장기간 체납한 고소득자 등 1천500여 명은 7월1일부터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본인이 진료비 전액을 부담해야 한다고 6월30일 밝혔다.

이번 조치에 따라 연소득 1억원 이상인 고소득자 및 재산 20억원 이상인 고액재산가로서 보험료를 6개월 이상 체납한 사람들과 기존 명단공개자(2년 이상 경과된 체납보험료가 1천만원 이상인 사람)는 법정본인부담금과 건강보험부담금 전액을 본인이 부담해야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다만 2개월 내에 체납된 보험료를 납부하면 건강보험을 사후에 적용해 진료비를 돌려받을 수 있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현재는 건강보험료를 체납해도 본인부담금만을 내고 진료를 받은 후 건강보험에서 부담한 진료비는 건강보험공단이 사후에 환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경우 환수가 사실상 어렵고, 그 결과 보험료를 성실히 납부한 국민과 장기 체납자 간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2006년부터 2013년까지 8년간 급여제한자의 진료비는 무려 3조8천억원에 이르며 환수율은 2.3%에 그치고 있다.

복지부는 제도의 안정적 시행을 위해 진료비 전액 본인부담 대상자에게는 제도내용을 개별 안내하는 한편 의료계의 사전 준비를 위해 6월1일부터 6월30일까지 시범기간을 운영하고 의료계 간담회, 의료기관 방문 설명,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등을 통해 안내하고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또 진료비 전액부담 대상자가 의료기관에 접수할 때 진료비 전액부담 대상자임을 의료기관이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복지부는 강조했다.

이에 대해 병원계는 급여자격 확인에 소요되는 업무량 증가 및 환자와의 마찰 우려 등을 들어 난색을 표명해 왔다.

한편 시범사업을 통해 당초 대상자 1천749명 중 180여 명이 보험료를 납부했고, 미성년자는 대상에서 제외키로 결정하고 현역병과 재소자 등 급여중지자도 제외함에 따라 진료비 전액부담 대상자를 1천494명으로 최종 확정했다.

아울러 건강보험 자격을 상실한 외국인, 국외이주자 등 건강보험 자격이 없는 무자격자 6만1천명(2013년 적발 기준)도 7월1일부터 진료비를 전액 부담해야 한다.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료를 납부할 능력이 있으면서도 장기간 체납해왔던 일부 고소득자가 진료비 전액본인부담 제도를 통해 건강보험료를 성실히 납부하게 되면 정상적인 건강보험제도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이번 시행결과를 평가해 2단계 전액본인부담 대상자의 확대 규모와 시기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