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평한 보건증진으로 사회정의 구현
상태바
공평한 보건증진으로 사회정의 구현
  • 전양근 기자
  • 승인 2012.11.13 20: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지속가능시스템' 결정에 지혜 모아야
마가렛 찬 WHO 사무총장 특강

“질병예방 등 공중보건 정책이 복잡다단해 지고 있지만 WHO 헌장에 입각한 '공명정대한 보건의료보장' 정신은 변화가 있을 수 없습니다.”

마가렛 찬 WHO 사무총장은 11월13일 오전 세브란스병원 은명대강당에서 '젊은이여 국제보건에 도전하라(Challege to global health)' 주제특강을 통해 “1945년 UN 특별기구로 창립된 WHO(세계보건기구)는 '모든 국가들이 협력해서 보건의료증진에 기여함으로써 평등과 사회정의를 구현한다'를 이념으로 삼고 있다”며 질병통제에 있어 불균형적인 발전은 인류 공통의 위기라로 경고했다.

특별강연회에는 이수구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총재, 신영수 WHO 새태평양지역 사무처장, 전병율 질병관리본부장, 손명세 연세대 보건대학원장을 비롯 의대학생 등 400여 명이 참석했다.

빈곤층도 최고의 의료서비스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한 찬 총장은 WHO는 계속 이러한 보호계층을 넓혀 관심을 갖고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WHO의 표준이 척도가 되어 대기오염의 질이 평가되고 있으며 소아마비 등 사라진 질병도 WHO의 표준화 적업 덕택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국가간 과학, 의료기술 격차가 커짐에 따라 건강에 대한 결과가 갈수록 편차가 심해져 소외계층이 제대로 된 의료혜택을 못받는 소외계층이 확대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WHO는 보건 건강의 평등을 사회정의로 인식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만들어 내는 솔루션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은 의료서비스 제공으로 건강증진은 경제개발에 도움이 된다”고 의미를 부각시켰다.

찬 총장은 WHO는 헌장에 입각해 전세계 194개 국가가 빈곤을 없애고 1차 의료보장을 구현하기 위해 2015년 까지 8개 계획을 수립, 시행해 빈곤 척결 및 10대 임신이 줄어드는 등 모자보건 향상과 HIV, 결핵, 말라리아가 사라지고 있다고 성과를 평가했다.

반면 세계화를 통해 무역, 자본시장, 기업간 관계 등이 국가의 조건보다 훨씬 중시돼 국가간 불평등이 더욱 커져 의료보장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건강기회 조차 박탈당하는 상황이라고 개탄했다.

이에 따라 개도국과 선진국의 기대수명 격차가 40년이나 되고 연간 의료비 지출에서 1년에 1달러 남짓한 나라가 있는가 하면 8천달러를 쓰는 나라도 있어 불평등이 심화됨으로써 WHO 헌장에서 언급한 인류 공동의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고 챈 총장은 진단했다.

아시아 국가 등의 10대들에서 발생한 당뇨로 인해 40대에 심장병으로 죽어가며 15세 미만에서 뇌졸중이 발생하는 등 젊은이들의 건강 위협은 국가의 지속개발에 위험으로 작용한다.

마가렛 찬 사무총장은 “OECD 보건성과 발표를 보면 지난 30년 한국만큼 업적(비용측면보다 많은 성과)을 이룬 나라가 없지만 공짜점심은 없는 법이어서 사람들이 원하는 최고서비스를 위해 정부가 재원을 마련해야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서의 균형에 대해 국민들이 세금을 더 내든지 건강보험에 가입하든지, 본인부담을 더 해야 하는 점을 들어 '공짜점심 없음'을 뒷받침했다.

찬 사무총장은 “무엇이 한국에서 지속가능시스템인지를 잘 결정해 번영과 잘 관리되는 건강한 사회를 위해 국민 각자의 책임과 의무가 수반되어야 하며 전세계로부터 배울 것은 배워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와함께 부 자체가 시민사회를 측정하는 유일한 지표가 아닌 만큼 고 이종욱 박사의 숭고한 뜻과 빈곤층을 돕는 김용 세계은행 총재의 집념을 도덕적인 나침판으로 잊지 말 것을 바란다며 강연을 마무리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