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세 이상 고위험 모성사망비 급격히 증가
상태바
35세 이상 고위험 모성사망비 급격히 증가
  • 박현 기자
  • 승인 2012.11.06 15: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년만에 전체 모성사망비 2배, 고위험 간접사망비 6배 증가
전공의, 분만의사 감소로 고위험 임신 관리 능력 떨어져

최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모성사망비가 2008년도에 10만 출생아 분만당 8.4명으로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불과 4년만에 분만당 17.2명으로 2배 증가했다.

특히 분만 후 출혈, 임신중독증 같은 고혈압성 질환, 양수색전증 등 직접 모성사망에 의한 모성사망비는 1.6배 증가했으나 고령임신 등 고위험 산모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간접 모성사망비는 6배나 증가한 것으로 보고됐다.

또한 산모 연령에 따른 모성사망비를 보면 2008년 대비 2010년에 35세 이하의 산모에서는 모성사망비의 변화가 없었던 반면 35세 이상의 고령산모에서 모성사망비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고령산모 관리에 대한 인프라 약화(분만병원 수 감소, 대학병원의 인력 부족)가 시급한 문제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산부인과 전공의, 분만의사 감소로 인한 고위험 임신관리 능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1995년부터 2011년까지 산부인과 전공의와 분만의사 수가 감소할수록 모성사망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의학 잡지인 '란셋'지에 실린 전 세계 국가들의 모성사망비를 비교한 논문을 보면 2008년을 기준으로 한국에서는 10만 명의 출생아 당 11건의 모성사망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OECD 국가 평균(10만 명의 출생아 당 11.5건) 보다 낮은 수치였으며 미국의 모성사망비(10만 명의 출생아 당 17건) 보다는 훨씬 낮은 수치였다. 그런데 이렇게 낮았던 모성사망비가 불과 4년 만에 악화된 것이다.

또한 얼마 전 보건사회연구원이 2007~2008년 동안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모성 사망비가 지역에 따른 불균형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 모성사망비는 10.8명인 반면 강원 지역 모성사망비는 34.6명으로 나타나 그 차이가 세 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2007, 200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결과).

현재 강원도가 국내에서 분만취약지가 가장 많고, 대학병원으로의 접근성이 가장 떨어지는 곳임을 감안할 때 결국 산과적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능력과 신속한 접근성이 떨어지면서 모성사망비가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백인 여성에 비해 흑인 여성의 모성사망률이 3~4배 높은 미국의 보고와도 비교할 만 하다.

참고로 모성사망비(Maternal Mortality Ratio)는 출생아 10만 명당 산모 사망의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모성사망을 측정하는 지표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한 국가의 보건수준을 대표하는 주요 지표이며 국가의 모자보건 정책 수립 및 평가의 기초통계가 되고 있다.

모성사망은 직접과 간접으로 나눌 수 있다.

직접 모성사망은 고혈압성 질환, 양수색전증, 감염 등과 같은 임신, 분만, 산후 과정의 합병증이나 치료결과 등과 직접 연관된 사망이다.

간접 모성사망은 산과적 원인과는 다르게 임신 전의 질환 또는 임신, 분만, 산후에 발생한 질환이 악화되어 일어난 것으로 의학수준과 사회적 환경, 산모의 연령 및 건강상태와 관련이 있다.

즉 의료의 질 향상, 임신과 분만의 합병증 감소, 응급상태에 대한 수혈법, 항생제 요법 및 수액요법의 발달, 산전 관리 및 병원분만이 증가되면 감소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의료소송의 위험성, 응급 진료의 기피 등 사회적 요인에 의한 산부인과 기피현상의 악화로 우리나라 수련병원들의 산부인과 전공의 감소는 심각한 수준이다.

산부인과 전공의를 마치고 신규 배출되는 전문의 수가 2001년도에 270명에서 올해에는 전국에서 단 90명의 산부인과 전문의가 새로 배출될 정도로 현재 전공의들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고위험, 고령 산모관리를 맡아주어야 할 대학병원 산부인과 들이 전공의가 없어 교수들로만 운영이 되다 보니 분만장을 폐쇄하거나 진료기능이 약화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다.

심지어 최근에는 국립대학병원에서 조차 전공의가 없어서 개인병원 산부인과로 산모를 전원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하였다.

대한산부인과학회 김선행 이사장은 “2008년도까지 OECD 평균 보다도 낮은 모성사망했 이룰 수 있었던 것은 그 동안 열악한 분만환경에도 불구하고 밤낮으로 분만장을 지켰던 산부인과 의사들의 투철한 희생정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말했다.

또 “하지만 이제는 젊은 의사들에게 오로지 의료인으로서 사명감 만으로 의료소송에 대한 정신적인 부담과 산부인과의 특성상 일상인 응급진료에 대한 육체적인 부담을 이겨내라고 강요할 수 없게 된 것이 현실이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제는 서울ㆍ경기 지역에서도 분만의사나 전공의를 구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하루속히 국가적인 특단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앞으로 모성사망비는 더 증가할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