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성 간경변' 진단기준 개발
상태바
'대상성 간경변' 진단기준 개발
  • 박해성 기자
  • 승인 2010.11.26 1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직검사 없이 초음파·혈액검사로 진단 가능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정재연·조성원 교수팀

그동안 진단이 쉽지 않았던 '대상성 간경변증'의 새로운 진단기준이 개발됐다. 조직검사 없이 초음파와 혈액검사만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며 개원가에서도 대상성 간경변증의 진단과 치료가 손쉽게 가능해 졌다.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정재연·조성원 교수팀은 보건복지부 산하 ‘근거창출사업단 간경변증임상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아 2003년 12월에서 2009년 10월까지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에서 복부초음파검사, 혈액검사, 조직검사를 실시한 만성 B형 및 C형 바이러스 간염환자 203명을 대상으로 초음파검사와 일반혈액검사의 간경변증의 진단 정확도를 알아봤다.

그 결과, 초음파로 간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불규칙한 결절성 소견이 보이거나 혈소판이 10만/uL 이하거나 알부민 3.5g/dL 이하 또는 프로트롬빈시간(INR)이 1.3 이상 중 하나만 만족할 경우 초음파검사와 일반혈액검사만으로도 90%의 특이도와 61%의 예민도로 대상성 간경변증을 진단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현재 간경변증 진단은 침습적인 조직검사가 표준적인 방법으로 출혈 경향이 심한 사람에는 할 수 없고 1만 명당 1명 정도의 사망률을 보이는 등의 단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비침습적이면서 좀 더 손쉬운 간경변증의 진단방법과 통일된 진단지침 개발 필요성이 부각돼 오던 차에 정재연·조성원 교수팀이 혈액검사와 복부초음파검사의 진단기준을 제시한 것.

조성원 교수는 “간경변증을 조기에 진단하는 것은 생명을 연장시키는 데 매우 중요하지만 그동안 구체적 진단지침이 없어 의사들이 다양한 진단기준을 이용해 왔다”고 설명하고 “이번 연구결과는 어느 병원이든 특별한 장비가 없어도 초음파나 혈액검사를 통해 간경변증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과 아직 통일되지 않은 간경변증 진단기준을 국내 자료를 이용해 수립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만성 간염에서 간경변증으로 진행된 환자는 복수, 정맥류 출혈, 간성뇌증의 치명적 합병증과 간세포암종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 따라서 만성 간염에서 간경변증으로 진행하는 것을 조기에 진단해 내는 일은 간경변증의 합병증과 간암을 예방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현재 만성 바이러스 보유자는 전 세계적으로 B형의 경우 3억 5천만 명 이상, C형의 경우 1억 7천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간학회지 12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