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로 치매 및 간질 진단 성공
상태바
MRI로 치매 및 간질 진단 성공
  • 박현
  • 승인 2007.03.16 08: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 현택환 교수 연구팀, 세포단위(나노미터) 영상촬영
살아 있는 뇌를 해부한 것처럼 세포단위까지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영상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개발됐다.

서울대학교 현택환 교수와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이정희 교수팀은 나노미터(10억분의1m) 단위의 산화망간 입자를 이용, 자기공명영상(MRI)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던 뇌 세포까지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진단이 불가능했던 수㎜ 이하의 초기 암세포는 물론 기존의 뇌 영상장치로 촬영하지 못하던 치매까지 진단할 수 있어 이들 질환 치료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뇌 영상이 공개되자 해외 유명 뇌 연구자들로부터 공동연구 제의가 잇따라 들어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에 따르면 MRI는 강력한 자석으로 쇳가루를 움직이듯 세포의 수소 핵을 변화시켜 인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 장치다.

이때 특정 부분을 더 밝게 해서 영상을 선명하게 하는 조영제(造影劑)를 함께 사용하지만 기존 조영제는 뇌세포 밖에 있는 장벽을 통과하지 못해 세포 단위의 영상을 얻을 수 없었다.

연구팀은 “산화망간 조영제는 자성이 없고 뇌 장벽을 자유롭게 통과하기 때문에 해부했을 때와 같은 선명한 영상을 제공한다”며 “암세포는 물론 기존 조영제로 확인이 불가능하던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간질에 걸린 세포까지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동물실험에서 효과가 확인돼 뇌 연구실에서는 당장 사용할 수 있다”며 “기술이전을 추진해 인체에 적용하기 위한 임상실험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두 교수가 공동 대표저자로 등재된 이번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최고 권위지인 독일의 ‘안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 14일자 온라인판으로 게재됐다. 이 학술지 5월호 표지논문으로 출판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