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임상위, 중앙감염병병원 설치 촉구
상태바
중앙임상위, 중앙감염병병원 설치 촉구
  • 오민호 기자
  • 승인 2020.03.23 16: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사태 종식 이후 늦어 신속히 추진해야
임상정보 관리 위한 데이터 전담팀 구성…웹기반 정보관리시스템 구축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가 중앙감염병병원 설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코로나19 사태 종식 이후로 미룰 것이 아니라 신속하고 구체적인 사업 추진을 주장했다.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위원장 오명돈, 이하 중앙임상위)는 3월 23일 오후 3시 신종감염병 관련 기자회견을 갖고 중앙감염병병원 설치를 촉구했다.

이날 중앙임상위는 코로나19가 세계적 대유행(pandemic)으로 번져 경제, 사회적 격변으로 이어지고, 향후 진행 상황에 대한 예측도 어려운 만큼 중앙감염병병원 설치를 사태 종식 이후 장기과제로 미룰 것이 아니라 신속하게 구체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장은 “공중보건 위기 상황이 터지고 닥쳐야 무엇이 필요하고 부족한지 드러나게 된다”면서 “국립중앙의료원의 경우 ‘중앙임상위원회’ 운영, 전세기 편으로 귀국한 중국 우한 주민의 의료지원, 청도대남병원 정신병동 중증환자 치료, 중증환자 전원조정 상황실 운영, 생활치료센터와 공항검역소 의료자문 등 제한적이나마 중앙감염병병원의 기능과 역할을 임시방편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정 의료원장은 “코로나19 극복할 것이지만 사태 종결 이후 다시 공백이 지속된다면 사회적 비용은 천문학적으로 커지고, 동원되는 의료인들의 희생만 반복, 강요하게 될 것”이라면서 “지난 2달여 코로나19 사태의 고비마다 수행해야 했던 이러한 ‘임시적’ 기능은 다른 한 편 그동안 감염병 대응 역량에 공백이 있었다는 반증이고, 분절된 감염병 대응 역량을 정상화, 기관화(institutionalisation) 하는 것이 시급한 정책 현안이라는 것을 확인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사태에서 국립중앙의료원의 확대된 역할은 위기상황 발생에 따른 임시적 성격이 있는 만큼 중앙감염병병원의 설립을 신속하게 추진해 신종감염병 의료체계의 중추로서 그 기능을 상시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국가는 감염병의 연구·예방, 전문가 양성 및 교육, 환자의 진료 및 치료 등을 위한 시설, 인력 및 연구능력을 갖춘 감염병전문병원 또는 감염병연구병원을 설립하거나 지정하여 운영해야 한다.

또 중앙감염병영원의 기능으로 △감염병 환자 등의 진료 및 검사 △감염병 대응 교육 훈련 △신종 및 고위험 감염병 임상 연구 △감염병 대응 자원에 대한 관리 및 평가 △환자 의뢰 회송 체계 관리 운영 등 ‘감염병전문병원 지정 의료기관 등’ 보건복지부 고시에 담았다.

한편, 중앙임상위는 코로나19 전국 임상기록 수집과 과학화를 위한 데이터 전담팀도 구성한다.

중앙임상위는 질병관리본부, 보건복지부 등의 협조로 데이터 전담팀을 구성, 코로나19 임상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임상정보관리’는 대구·경북 지역에서 확진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이후 지난 한 달여 동안 축적된 코로나19 임상정보를 질병의 진행 경과와 중증도 정보 등으로 구체화해 웹기반 정보관리시스템(eCRF: electronic Clinical Record Form)을 구축할 예정이다.

eCRF는 임상연구 전반의 정보관리시스템으로서 코로나19에 특화된 전자증례기록 시스템이며 한국형 eCRF는 환자의 임상증상과 발병일 등 기본적인 방역, 임상 정보와 WHO에서 작성한 코로나19 환자 임상증례기록 항목을 포하게 된다.

확진환자를 치료하고 있는 의료기관은 코로나19 eCRF에 로그인해 해당 의료기관이 담당하는 환자의 임상 정보를 입력하고 열람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실시간 환자 현황파악 및 가용 의료자원의 효율화, 국제 감염병 대응 협력(WHO 정보제공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다만 아직 전체 환자의 85% 이상을 치료하고 있는 대구·경북 지역 의료진의 업무 하중으로 정보입력이 늦어지고 있어 적극적인 지원대책이 필요하다고 중앙임상위는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