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도움돼
상태바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도움돼
  • 최관식 기자
  • 승인 2018.07.04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후관리사업 결과 접촉 횟수 늘수록 자살위험도 낮아져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사후관리서비스가 전반적인 자살위험도는 물론 식사 및 수면문제, 우울감 등 정신상태 등이 호전됐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중앙자살예방센터(센터장 한창수)는 7월4일 ‘2017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결과를 발표했다.

2013년부터 시행해 온 이 사업은 병원 응급실에 정신건강전문요원 등 2명의 전문인력을 배치해 자살 시도로 응급실을 내원한 사람에게 상담 및 사례관리 등 사후관리를 해주고 있다.

자살시도자가 퇴원한 후에도 전화 및 방문 상담을 진행하고, 정신건강 및 복지서비스는 물론 지역사회의 자원을 연계해 자살 재시도를 차단하고 있다.

사업을 수행한 총 42개 병원의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1만2천264명을 대상으로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응답자 중 과거 자살을 시도한 비율이 35.2%(3천16명)에 달하고, 응답자 대부분은 6개월 내에 다시 자살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자살시도의 동기는 △정신건강 문제(31.0%) △대인관계(23.0%) △말다툼 등(14.1%) △경제적 문제(10.5%) △신체적 질병(7.5%)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실제 자살사망자의 자살동기가 △정신적 문제 (36.2%) △경제적 어려움 (23.4%) △신체질환(21.3%) 순인 것과 다소 차이가 있다.

또 자살시도자의 상당수가 음주 상태였고(53.5%), 자살시도자 대부분이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했으며(88.9%), 절반 이상이 자살시도 시 도움을 요청(52.1%)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살시도자는 자살사망자에 비해 여성, 그리고 20대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관리서비스에 동의하고 사후관리 접촉이 4회까지 진행된 자살시도자 총 3천999명을 대상으로 사후관리서비스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후관리서비스를 진행할수록 △전반적 자살위험도 △자살계획·시도에 대한 생각이 감소하고 △알코올 사용문제 및 스트레스 △식사 및 수면문제, 우울감 등 정신상태 등이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통해 삶의 희망을 되찾게 된 사례들도 많다.

부산에 거주하는 40대 여성 A씨는 20대에 조울증이 발병해 20년간 입·퇴원을 반복하며 치료를 받고 있었으며 최근 가족간 갈등으로 두 번째 자살을 시도했다.

사례관리자는 이혼 후 생계가 곤란한 A씨에게 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했고, 퇴원 후 주간재활이 가능한 사회복귀시설을 연계하는 한편 정신건강복지센터를 통해 장기적인 사례관리가 가능하도록 했다.

한결 밝아진 A씨는 “가족이 전부였고, 이혼 후 그 생활이 끝났다는 생각에 죽어야겠다는 생각만 들었는데, 지금은 살아갈 수 있겠다. 앞으로의 목표가 조금씩 생긴다”며 삶의 의지를 표현하게 됐다는 것.

고령의 나이로 오랜 신체적 통증과 우울증을 앓고 있는 70대 B씨는 아픈 삶을 끝내고 싶다며 자살시도를 했다.

사례관리자는 B씨에게 외래 치료를 위해 병원에 내원 시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설득했고, B씨의 보호자와도 전화 면담을 지속해 B씨를 지지할 수 있도록 안내했다.

지속적인 상담을 통해 자살예방센터 연계와 함께 우울증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정기적인 가정방문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지체계를 마련, B씨는 차차 안정을 되찾아 가고 있다.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중앙자살예방센터 한창수 센터장(고려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은 “이번 결과를 살펴보면 상당수의 자살시도자가 음주상태에서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하고, 그들이 진심으로 바라는 것은 죽음이 아니라 도움의 손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며 “사후관리를 통해 지역사회와 연계한 적절한 치료 제공과 사회·경제적 지원으로 자살시도자의 자살 위험을 분명히 낮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수행기관을 올해부터 총 42개에서 52개 병원 응급실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