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6년 뒤 대한민국 인구 소멸
상태바
736년 뒤 대한민국 인구 소멸
  • 최관식 기자
  • 승인 2014.08.22 1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 양승조 의원 국회입법조사처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 2750년 인구수 '0'
현재의 출산율이 지속된다면 약 736년 뒤에 대한민국 인구가 소멸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 국회 양승조(천안갑) 의원은 8월22일 “2750년 대한민국 인구가 멸종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승조 의원이 국회입법조사처에 의뢰한 ‘합계 출산율 1.19명 지속 시 대한민국 향후 총 인구 변화’ 분석결과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약 120년 후 인구수가 1천만명으로 급속히 줄어들기 시작해 2172년 인구 500만명, 2198년 인구300만명, 2256년 인구 100만명, 2379년 인구 10만명, 2503년 인구 1만명, 2750년에는 대한민국 인구가 멸종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약 242년 후 대한민국 인구가 100만명 시대에 도달하면 2014년 기준 100만 도시로 손꼽히고 있는 경기 수원시‧성남시‧고양시‧용인시, 경남 창원시의 인구규모와 동일한 수준이다.

인구 감소는 2056년 4천만명을 시작으로 3천만명, 2천만명, 1천만명으로 줄어드는 데 각각 18년, 23년, 39년의 기간이 소요되는 등 인구감소 기간이 느려지다가 인구 1천만명 시점에서 500만명, 300만명으로 도달하는 데까지는 각각 36년, 26년으로 인구감소 속도에 탄력이 붙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0만 인구 시점에서 멸종시점까지는 약 494년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인구 이동이 없다는 가정 하에 추계된 지자체별 마지막 출생인구 시점 분석결과에 따르면, 부산의 마지막 생존자 출생시점은 2413년으로 16개 지자체중 출생시점이 가장 빨라 최초로 소멸되는 지자체로 나타났고, 경기지역의 마지막 생존자 출생시점이 2621년도로 최후까지 남는 지자체로 분석됐다.

양승조 의원이 의뢰 분석한 이번 조사는 지난 2010년 4월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저출산 극복을 위한 긴급제언’에서 언급했던 2100년 한민족의 총인구는 2010년 인구 4천887만명의 50.5%인 2천468만명으로 축소되고, 2500년에는 인구가 33만명으로 줄어 민족이 소멸될 우려가 있다는 전망보다 인구소멸 시기가 더욱 앞당겨진 것은 물론, 인구수 도달시점이 세분화돼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소멸론에 더욱 무게를 싣고 있다.

양승조 의원은 “지난 2006년 데이빗 콜먼(독일) 옥스퍼드 인구 교수가 인구소멸 1호국가로 한국을 지명한 것처럼 저출산고령화는 대한민국 국가존립을 위협하는 매우 심각한 문제”라며 “정부는 그 무엇보다도 저출산고령화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마련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양 의원은 이어 “성공적인 저출산 극복사례로 꼽히고 있는 프랑스와 해외 선진국가들처럼 정부는 저출산고령화 극복을 위한 현실적인 예산 투입과 육아휴직과 같은 제도개선 및 확대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회입법조사처 자체 개발 시뮬레이터 ‘입법·정책 수요예측 모형(NARS 21)’을 운용해 도출된 결과물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