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F 2023]병원건축포럼(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상태바
[KHF 2023]병원건축포럼(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 박해성 기자
  • 승인 2023.09.20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션3. 스마트 의료환경의 패러다임

◆팬데믹 이후 스마트 병원 환경의 패러다임 변화
-조치흠 계명대 동산의료원장

조치흠 의료원장
조치흠 의료원장

스마트병원을 구상하고 이를 실현하는 것은 국내 의료 시스템 상에서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계명대 동산병원이라는 새 병원의 건립 시기에 의료원장이라는 직책을 맡아 이를 실현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맞이할 수 있었다.

계명대 동산병원의 건립 초기부터 함께 고민하며 병원에 ‘감성’을 넣고 싶었다. 대구동산병원에서 계명대 동산병원으로의 이전은 성공적으로 이뤄졌고, 새병원 개원 2주만에 정상적인 가동에 돌입하며 ‘잘 될 수 있을까’하는 이전의 염려와 불안감이 무색해질 수 있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흑사병을 거치며 여러 교훈을 얻었다. 이는 이전까지의 삶을 완전히 바꾼 계기가 됐다. 중세 봉건사회가 몰락했고,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했으며, 유대인 혐오 사상, 염세주의 등이 생겨나는 등 경제·사회적으로, 그리고 인문학적으로도 많은 변화를 겪었다.

최근에는 코로나19가 우리 삶의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언택트 관련 기술이 부상했고, Chat GPT, AI 등이 우리 생활에 들어왔다. 이는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새로운 지평 연 전환점이 됐다.

계명대 동산병원의 뿌리는 우리나라에 두 번째로 자리잡은 제중원이다. 대구 경북 지역 최초로 서양의술을 도입한 의료기관으로, 대구동산병원의 노후화와 공간 부족으로 현재 계명대 동산병원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물론 기존의 대구동산병원 또한 2027년까지 800병상 규모의 새 병원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계명대 동산병원은 ‘스마트병원’으로의 도약을 이뤄나가고 있다. 이를 위해 가장 기초가 되는 병원의 전산시스템부터 모두 개선했다. 국내 최초로 에너지절약형 친환경 인증인 ‘LEED 인증’을 받기도 했고, 스마트병원과 관련한 다양한 정부 과제도 수행하고 있다.

△약제(항암제) 등을 배송하는 ‘자율주행로봇’ △‘지정맥’(생체정보)을 활용한 병원 업무 △스마트 병실 시스템 구축 △응급실 등 AI 의료영상 진단솔루션 도입 △의료데이터 안심 활용센터 지정 △자동주사약물 분배 장비, 진단검사 자동화 설비 등 자동화 의료시스템 구축 △보이스컨트롤이 가능한 로봇수술실, 하이브리드 수술실 등 스마트 수술센터 구축 △병원정보시스템(HIS) 구축 등 다양한 성과를 내고 있다.

병원 신축 시 ‘스마트 플랫폼과 AI를 이용한 환자 중심의 감성병원’을 만드는 것이 목표였다. 이를 위해서 △원무 △병동 △물류 세 가지 축의 스마트화에 집중했다. 그리고 그 중심은 환자 입장에서 편리한 서비스여야 한다는 것이었다.

우선 원무 스마트화에서의 목표는 환자가 병원에 와서 원무과를 들리지 않고 돌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카카오헬스케어와 서비스 연계를 추진하고 있다. 항공권 예약 시 자리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병실을 클릭해 예약하는 ‘입원 스마트인’ 서비스도 우리 병원만의 특화 서비스로 준비 중으로, 내년 3월까지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아울러 병동의 스마트화를 위해 지정맥을 활용한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보이스 EMR,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환자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구축하고 있다.

그리고 입원환자들의 약품을 이송하는 소형 자율주행로봇을 도입했으며, 이를 시작으로 추후 중앙공급실의 수술기구 및 장비 등을 이송하는 대형 자율주행로봇도 도입해 물류 스마트화를 이루고자 한다.

결국 ‘스마트병원’이라는 것은 ‘기계가 잘하는 것은 기계가, 사람이 잘하는 것은 사람이 하는 조화로움을 이루는 병원’이라고 생각해 본다.


◆Digital Healthcare for connected Health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

황희 대표
황희 대표

국내 대표적인 스마트 헬스케어 기업으로서 여러 분야의 많은 파트너들과 만나 얘기를 나누면서도 가장 어려운 부분은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스마트홈’인 것 같다.

국내 의료비 지출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그 속도는 매년 9% 상승하고 있다. 이 속도대로라면 2035년 정도에는 의료비가 우리나라 전체 GDP의 15% 정도를 사용하게 된다. 이는 어마어마하게 큰 비중으로, 건보재정으로 이를 해결하기에는 불가능한 상황이 된다.

우리나라는 이미 초고령사회에 들어섰으며, 2035년에는 일본을 넘어서서 가장 늙은 나라가 된다. 고령 인구는 국가 전체 메디컬비용의 80% 정도를 사용한다. ‘웰다잉’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면 아직까지 우라니라 사람들은 대부분 병원에서 임종을 맞이한다. 하지만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필수적인 의료서비스 제외하고는 집에서 임종을 다룰 수 있는 부분을 더욱 고민하고 있다. 노인환자 대상 케어서비스, 거주시설 등이 그 일례이다.

미국에서 글로벌 커넥티드 홈 시장의 전망과 주요영역을 조사한 적 있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헬스케어, 휘트니스, 웰니스를 집에 어떻게 접목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이었다. 우리나라는 아직 예방과 치료 후의 환경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하지만 국내 조사에서도 거주공간으로 선호하는 유형은 건강특화 주택으로 나타났고, 국내 대다수의 거주형태인 아파트 중에서도 선호하는 곳은 헬스케어 시스템을 적용한 아파트가 1위로 조사되는 등 이에 대한 요구는 점차 커지고 있다.

현재의 스마트홈은 2세대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센서를 기반으로 한 모니터링, 응급상황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등이 적용돼 있다. 가장 잘 만든 기술은 자신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 채 그것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기술이다. 3세대 스마트홈 또한 센서와 웨어러블이 결합된 형태의 서비스를 지닐 것이다. 하지만 자신의 별다른 노력 없이 계속해서 여러 가지가 모니터링되는 상태가 될 것이다.

앞으로는 병원과 홈의 커넥션도 중요하다. 병원에서 이뤄지는 서비스와 집에서 이뤄지는 서비스가 연결돼야 한다. 오늘날 얘기하는 정밀의료는 임상데이터, 유전체데이터, 생활데이터 모두가 합쳐져야 발전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홈이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정밀의료를 위한 생활데이터를 수집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카카오헬스케어는 당뇨 케어, 정신건강 케어, 근골격계 케어 등 3가지의 서비스를 출시 준비 중이다. 우리의 목표는 국민 건강을 개선하고 예방하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사전·사후 관리에 집중하는 것이다. 스마트홈과 라이프로그와의 접목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방향성은 다양한 분야와의 꾸준한 논의가 더 필요할 것이다.


◆Clinical Command Center based Smart Hospital
-김효석 필립스 아시아태평양 솔루션사업부 대표

김효석 대표
김효석 대표

전 세계적으로 고령사회가 가속화되고 있어 WHO는 2030년 의료인력에 대한 부족 현상을 예고하고 있다. 물론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최근에도 의료인력 부족에 대한 다양한 시각의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글로벌 설문조사에서 의료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혁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필립스는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의료장비뿐만 아니라 의료 신기술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미 널리 보급돼 있으며, 이러한 선도사례들을 바탕으로 국내에서도 다양한 정부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병리 솔루션 및 인공지능 분석 솔루션 등이 많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그 임상적 가치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새로운 기술이 나왔지만 의료진의 워크플로우는 예전 그대로 유지되다 보니 그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다. 이에 새로운 기술을 제공할 때는 컨설팅 사업도 함께 병행돼야 한다. 필립스의 클리니컬 커맨드센터(Clinical Command Center)가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필립스의 커맨드센터는 본원과 분원을 연결하거나, 지역거점병원과 지역 내 병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혁신적인 원격기술을 통해 의료진 대 의료진의 원격협진을 이뤄낼 수 있다. 각종 의료기기에서 쏟아지는 데이터를 분석해 의료진에게 제공하게 된다. 병원에서 어떤 브랜드의 기기를 사용하는지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미국의 데이터기업인 Capsule을 인수하기도 했다.

클리니컬 커멘드센터는 심혈관, 병리학, 영상의학 분야 등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미국은 홈케어에도 활용하고 있다. 물론 활용도는 계속 확장될 것이다.

클리니컬 커멘드센터는 대시보드화된 데이터를 의료진에게 제공한다. 북미 500개 이상 병원에서 커멘드센터를 도입했고, 직관적으로 보기 쉽게 구성된 다양한 대시보드는 환자 중증도를 바탕으로 우선순위를 알려줄 수 있다. 확인된 생체신호가 AI 알고리즘을 거치며 응급상황 발생 등을 예측할 수 있는 것. 커멘드센터의 성과는 다수의 임상논문으로도 밝혀졌다. 사망률 감소, 재원일수 감소 등의 효과를 입증했다.

암환자의 증가로 인해 디지털 병리 분야에서의 활용이 많아졌다. 실시간 판독, 분석 툴을 제공하고 있는 것. 일례로 스페인 그라나다병원에서는 커멘드센터를 활용한 협진을 시행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의 경쟁관계에 있는 3개의 병원이 커멘드센터를 기반으로 협진을 하고 있기도 하다.

심혈관 분야에서도 여러 정보를 하나로 통합해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영상의학 분야에서도 컨설팅을 제공해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외에도 중환자 관리에서 시작해 응급환자, 일반병실 등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다만 아직까지 커멘드센터의 공간, 디자인 표준화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다양한 시나리오, 워크플로우를 기반으로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는 여전히 고민해야 할 숙제이다. 필립스는 클리니컬 커멘드센터의 글로벌 스탠다드를 만들고자 한다. 

<정리 : 박해성>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