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성인 8.3%가 앓는 당뇨병,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
상태바
전 세계 성인 8.3%가 앓는 당뇨병,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
  • 박현 기자
  • 승인 2015.11.12 15: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0년 이후 5년간 매년 4.4% 환자 증가, 특히 70대 이상은 증가 인원의 절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오는 11월14일 '세계 당뇨병의 날'을 맞이해 '당뇨병'에 대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5년간 진료비 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14년 당뇨병으로 진료를 본 환자는 약 258만 명이며 총 진료비는 약 7천354억 원이었다.

또한 조사기간 5년 간 매년 4.4%, 6.1%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년간 늘어난 진료인원 중 40대 이상이 대부분이었으며 특히 70대 이상은 약 22만 명이 증가해 전체 증가인원의 절반을 차지했다.

비단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당뇨병이 급증하고 있다.

2014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환자가 3억8천여 명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 세계 성인인구의 8.3%에 해당한다.

특히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당뇨병으로 사망한 사람은 최소 150만 이상인 것으로 추정되고 2035년에 이르면 전 세계 당뇨병 환자가 무려 5억9천여 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는 보고도 있다.

당뇨병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부족하거나 우리 몸에서 제대로 작용하지 못해 혈액 속의 혈당이 에너지로 이용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쌓이는 질병이다.

우리 인체는 섭취한 포도당을 에너지로 쓰기 위해서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반드시 필요한데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이다.

당뇨병은 제1형과 제2형으로 나눈다.

제1형 당뇨병은 '소아당뇨'라고도 하며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정상보다 적거나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제2형 당뇨의 경우는 식생활의 서구화,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특정 유전자의 결함에 의해서도 당뇨병이 생길 수 있다.

당뇨병의 주요 증상은 크게 다음(多飮)·다식(多食)·다뇨(多尿)등 3다이다.

인슐린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많은 포도당 배출을 위해 소변을 자주 보게 되고 이때 빠져나가는 포도당과 수분을 보충하기 위해 허기와 갈증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당뇨병 발병의 원인은 크게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부모가 모두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 그 자녀가 당뇨병에 걸릴 확률은 약 30% 정도이며 부모 중 한 명만이 당뇨병일 경우에도 약 15%정도가 당뇨병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가족 중 당뇨병 환자가 있다면 당뇨병 발병에 더욱 신경을 기울여야 하며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유전적 요인 이외에도 당뇨병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비만, 음주, 흡연,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인 요인이 있다.

임신으로 인한 임산부 당뇨와 평소 기관지 천식, 피부병으로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들이 복용하는 약물에 의한 당뇨병, 위나 췌장에 질환이 있어서 위절제술이나 췌장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의 경우에도 당뇨병 위험이 있다.

보통 당뇨병은 8시간 이상 금식 후 병원에서 간단한 혈액 체취를 통해 혈당검사를 실시하면 즉시 진단이 가능하다.

혈당수치가 126이상인 경우 당뇨로 진단한다. 당뇨병 진단을 받게 되면 혈당검사 외에 단백뇨검사, 신장기능검사, 콜레스테롤검사, 당화혈색소검사, 혈압측정 등을 통해 합병증 여부를 검사해야 한다.

당뇨병환자가 가장 조심해야 하는 것은 합병증이다.

실명의 원인이 되는 당뇨병성 망막병증이나 신장의 기능 저하로 혈액 투석을 받게 될 수도 있다. 당뇨발이라고 하는 당뇨병성 족부질환, 우리 인체 각 부위의 저림증상과 통증이 지속되는 신경병증, 심장혈관계질환, 뇌혈관계질환의 위험도 높아진다.

각종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연구에 따르면 당뇨병은 사망위험을 최소 두 배로 늘인다고 알려져 있다.

안타깝게도 당뇨병은 현재까지 완치를 할 수 있는 치료법이 없다. 따라서 무엇보다 꾸준한 관리와 예방이 중요하다.

정상혈당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에게 맞는 식생활 개선과 체중 조절은 필수적이다. 비만은 당뇨병의 가장 큰 환경적 요인으로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하고 식생활을 개선해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이요법과 운동요법만으로 조절이 불가능할 경우 약물요법을 병행하기도 한다. 특히 제1형 당뇨병은 반드시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며 경구약제와 주사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영도병원 내과 김종한 부원장은 “당뇨병은 발병하면 향후 10년 정도는 뚜렷한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증상이 발생하고 진단 후에는 이미 합병증도 함께 시작됐을 가능성이 크다”며 “따라서 가족력이 있거나 당뇨병 고위험군에 속한다면 당장 수치가 정상이라고 해도 3~6개월마다 혈당검사를 받아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해주는 것이 좋다”고 한다.

또 “당뇨가 진행되고 있다 하더라도 관리만 잘한다면 당뇨로 인한 합병증 발병을 사전에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며 “음주, 흡연, 불규칙한 생활 개선과 더불어 평소 스트레스를 관리해주는 것도 당뇨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조언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