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수가' 반영, 다제내성균 대책 수립을
상태바
'감염관리수가' 반영, 다제내성균 대책 수립을
  • 전양근 기자
  • 승인 2011.02.25 17: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항생제 내성 대책 토론회서 의료계 한 목소리

'다제내성균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토론회
일명 슈퍼박테리아인 다제내성균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해 병원은 관심을 갖고 개선 노력을 기울여야 하지만 감염관리 수가 책정 등 보건의료정책 개선과 협력 및 사회적 합의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제시됐다.

최경희 의원 주최로 2월 25일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다제내성균 대비책' 토론회(사진)에서 병협 지정토론자로 참여한 인하대 의학전문대학원 감염내과 이진수 부교수는 항생제 내성문제는 공중보건상의 문제이므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책으로 감염관리 수가를 신설해 해당 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것을 요청했다.

이 부교수는 국내 초대형병원이나 대학병원들은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시스템과 인력을 확보하고 감염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나 대다수 병․의원에선 감염관리실을 둬 업무를 담당하기에 어려움이 크다며 300병상 이상에서의 감염대책위원회를 100병상 이상까지 확대하는 것은 운영비용, 전담인력 등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매우 힘든 실정이라고 말했다.

병원경영진이나 의료인들이 항생제 내성, 병원감염의 심각성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대처하기 위해선 전문인력 확보를 비롯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므로 감염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의 수가를 인정해야 한다는 논리이다.

이 부교수는 수가가 반영됨으로써 감염관리를 위한 시스템과 인력육성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그는 감염관리가 궁극적으로 병원의 의료비용을 감소시키는 순기능이 있지만 당장 눈에 보이는 효과가 도출되는 것이 아니므로 병원에서 부담으로 인식돼 전문인력 고용이나 비용투입이 어려운게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와함께 일부 내성균(VRE)은 격리병실이 인정되나 아직 많은 부분이 보험급여를 못받고 잇고, 상급병실을 축소하고 기준병상 비율을 높이는 정책 등 감염관리를 어렵게 하는 측면도 있어 다제내성균 감시체계 확대 등의 업무는 병원에 일정부분 부담이 된다며 수가지원의 논거를 폈다.

앞서 주제발표에서 연세의대 송영구(내과) 교수는 의료기관에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를 할 수 있는 감염관리 전문인력, 1회용 물품 비용 보전, 격리병실비용보전 등 기본적인 여건확보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이진수 부교수와 같은 맥락의 논지를 밝혔다.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양병국 질병관리본부 전염병대응센터장은 의료감염관리 전담조직을 신설하며, 빠른시일내에 의료기관 감염실태조사를 실시해 감염관리 지침을 마련하겠다며 의료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요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