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환자 ‘저혈량성 쇼크’ 주의
상태바
교통사고 환자 ‘저혈량성 쇼크’ 주의
  • 강화일
  • 승인 2007.12.26 1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혈압, 청색증 동반되면 갑자기 사망할 수 있어
교통사고 환자 중에는 당장은 의식이 있고 의사소통이 가능해서 방치되어 있다가 갑자기 상태가 안 좋아져 사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대부분 저혈량성 쇼크로 인한 사망이다.
교통사고나 추락 등 충격이 큰 사고의 경우, 뇌는 물론 눈에 보이지 않는 내부 장기에 다발성으로 손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겉으로 드러난 외상이 경미해보이더라도 신속히 응급실로 이송하여 적절한 검사 및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다.
한림대성심병원 신경외과 장인복 교수가 1999년 7월부터 2007년 5월까지 9년 동안 한림대성심병원 응급실에서 다발성 손상으로 사망한 환자 42명을 분석한 결과 74%가 저혈량성 쇼크로 였으며, 내원시 의사소통이 가능할 정도로 의식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저혈량성 쇼크가 진행되어 사망한 경우도 45%에 이른다고 한다,
사고의 형태는 보행 중 교통사고(42.9%)와 추락(23.4%), 자동차사고(11.9%), 오토바이 사고(9.5%)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종류의 교통사고를 합치면 전체의 64.3%가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이었다.
이번 조사대상의 저혈량 쇼크 유발 원인은 복강내 출혈이 23.8%, 골반골 골절이 26.2%, 혈흉이 11.9%, 두개골 골절이 4.8%로 집계되었다.
장 교수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올해 11월 대한신경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
저혈량성 쇼크는 순간적인 혈액순환의 감퇴로 인해 신체의 장기 및 조직들에 혈액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서 몸이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증상을 말한다.
저혈량성 쇼크 환자는 불안감과 두려움을 호소하는 등 의식 변화가 가장 먼저 나타나며, 대개 얕고 빠르며 불규칙하고 힘들어 보이는 호흡을 한다. 위장으로 공급되는 혈액의 부족으로 위장운동이 저하되면서 메스꺼움이나 구토를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산소가 신체의 각 조직으로 전달되지 않아 피부, 입술, 손톱 주위에 새파랗게 청색증이 나타나기도 하고, 말초혈관의 수축으로 인하여 피부가 차갑게 느껴지기도 한다.
쇼크는 발생 초기와 완전기, 말기로 나뉘는데, 말기가 되면 어떠한 치료법을 써도 반응이 없이 사망하게 된다. 이것을 불가역성 쇼크라고 하는데 이렇게 되기 전에 충분한 산소보급과 수액공급 및 수혈을 통해 쇼크의 원인을 제거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일단 발생한 쇼크상태에서 회복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 하지만 사고발생 직후부터 약간의 주의만 기울이면 쇼크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쇼크증상과 이에 대한 처치법을 미리 알고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중상일 때에는 반드시 초기에 쇼크 예방조치를 취해야 한다.
의식이 있을 때 취하는 가장 기본적인 자세는 베개 없이 수평으로 눕히는 방법이며, 출혈부위에 따라 해당 부위를 높여주면 도움이 된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환자의 체온 유지이다. 중상인 경우 체온을 외부로 빼앗기게 놔두면 더 쉽게 쇼크 상태로 빠져버리고, 일단 쇼크 상태에 들어서면 혈액순환부진 때문에 체온하강이 더욱 빨리 진행된다. 예방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경우 모포로 싸주는 것으로 충분하며, 추운 날이나 체온하강이 현저한 경우에는 전기담요 등으로 가온을 해주는 것이 좋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