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자살시도자 대부분 응급실에서 목숨 건져
상태바
[국감]자살시도자 대부분 응급실에서 목숨 건져
  • 최관식 기자
  • 승인 2020.10.07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재근 의원, 자살재시도 이어지지 않도록 사후관리 절실 강조

최근 3년간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는 10만명 가깝지만 사망자는 6천여 명에 그쳐 병원이 이들의 생명을 지키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살재시도가 이뤄지지 않도록 퇴원 후 사후관리가 더 치밀하게 이뤄져야 할 것이란 지적이다.

국회 인재근 의원(서울 도봉갑,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3년(2017~2019년) 동안 자살시도자가 응급실을 내원한 사례가 9만8,065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병원에서 사망한 인원은 6,016명이다. 이는 중앙응급의료센터 응급진료정보망(NEDIS)를 통해 추출한 수치다.

최근 3년 동안 관련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살시도자 응급실 내원건수는 여성(54,947건)이 남성(43,118건)보다 많았지만, 병원 내 사망자는 남성(4,024명)이 여성(1,992명)보다 많았다.

연령대별 내원건수는 20대(22,085건), 40대(17,390건), 30대(16,186건) 순이었고, 병원 내 사망자수는 50대(1,134명), 40대(997명), 70대(925명) 순이었다.

지역별 내원건수 및 병원 내 사망자수에서는 경기(내원건수 2만3,936건, 병원 내 사망자 1,352명)와 서울(내원건수 2만60건, 병원 내 사망자 800명)이 모두 1, 2위를 기록했다.

인재근 의원은 10만건 가까운 내원건수 중 병원 내 사망자가 6,016명이라는 것은, 많은 자살시도자가 목숨을 구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따라서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퇴원한 자살시도자를 관리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것.

정부는 2013년부터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2019년 기준 63개 응급의료기관, 132명의 전문인력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후관리사업은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자살시도자에게 응급치료, 상담, 정신과적 평가, 사례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난해 기준 10,738명의 자살시도자가 서비스를 제공받았다.

최근 보건복지부와 중앙자살예방센터는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 횟수가 늘수록 전반적 자살위험도이 낮아졌다고 발표했지만, 자살위험도 감소와 별개로 자살재시도 현황은 긍정적이지 않다. 사후관리 서비스를 받은 사람의 자살재시도율은 2017년 5.02%에서 2018년 7.42%, 2019년 8.73%로 꾸준히 늘어났다.

2019년을 기준으로 자살재시도자 현황을 분석해보면 총 937명의 자살재시도자 중 여성이 659명(70.3%), 남성이 278명(29.7%)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는 10대와 2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50.6%을 기록해 여성과 젊은 연령의 자살재시도에 대한 관심과 경각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재근 의원은 “자살시도 후 목숨을 구한 사람들은 새로운 생명을 얻은 것과 마찬가지다. 이들이 삶의 의미와 용기를 찾을 수 있도록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며 “하지만 여전히 사업 참여기관과 담당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며 사업에 대한 의료수가 문제도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인 의원은 이어 “사후관리사업의 규모를 확대하는 한편 서비스 제공 동의율 제고, 자살재시도율 감소 등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