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이용한 혈압관리 효과 입증
상태바
스마트폰 이용한 혈압관리 효과 입증
  • 박현 기자
  • 승인 2016.07.14 08: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김주영 교수팀
자기관리정도(PAM) 높을수록 모바일기기 활용한 건강관리 효과 뛰어나
연구결과 자기관리정도(PAM) 높을수록 혈압, 음주량, 흡연량 조절률 좋아져
최근 뛰어난 성능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IT(Information Technology)와 BT(Bio Technology) 기술이 융합된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활용해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하면서 피드백 및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당뇨나 고혈압처럼 질환 특성상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분야에서 특히 많은 관심을 받고있기 때문에 다채로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고혈압에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질병치료가 기존 진료방식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지 무작위 배정 대조군 연구(엄격한 과정을 거치는 임상시험 연구)를 통해 명확하게 입증된 사례는 많지 않았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김주영 교수팀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혈압관리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시행, 임상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미국 샌디에고에 위치한 스크립스연구소에서 무작위 배정 대조군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강관리의 효과'를 밝혀내기 위해 진행한 비교 임상시험의 2차 분석연구다.

기존 연구가 단순히 만성질환환자들을 무작위로 배정해 비교한 임상시험이었다면 이번 연구는 자기관리정도(PAM, Patient Activation Measure : 개인이 건강관리를 위한 지식, 기술, 자신감 등을 얼마나 갖추었는지 평가하는 측정도구)를 측정해 건강관리 효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본래의 연구는 고혈압, 당뇨 혹은 부정맥이 있는 만성질환자를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강관리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6개월간 스마트폰을 이용해 건강관리를 시행하고 이것이 만성질환자에서 비용절감 효과가 있는지 또는 만성질환에 대한 자기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임상적 결과가 호전되는지를 연구한 내용이었다.

그러나 6개월간의 연구결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강관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김주영 교수와 스크립스 연구진은 2차 분석연구를 위해 고혈압 환자 총 95명을 대상으로 자기관리 정도와 건강습관, 약물복용에 대한 순응도 및 혈압 조절률을 평가했다.

연구기간동안 52명은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활용해 자가 주도적으로 혈압을 관리했고 나머지 43명은 기존 방식대로 진료를 통한 혈압관리를 시행했다.

그 결과 환자의 자기관리정도(PAM)가 높을수록 혈압, 흡연량, 음주량이 더 효과적으로 조절됐으며 이러한 결과는 유일하게 스마트폰을 활용한 그룹에서만 관찰됐다.

더불어 연구팀이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자기관리정도와 혈압, 흡연량, 음주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요소 사이에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중회귀분석은 자기관리정도라는 독립변수가 음주량, 흡연량, 혈압 조절률이라는 결과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여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두 요소간 관련 정도를 –1에서 1사이의 값으로 산출해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그 크기가 클수록 기여도의 크기가 높다고 여겨지는데 연구결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그룹의 다중 회귀 분석에서 자기관리정도(PAM)가 1점 상승할 경우 흡연량(하루 담배 개피수 기준)의 회귀계수는 –0.63, 음주량(알코올 12g, 잔으로 표시)은 –0.22, 수축기 혈압(mmHg) –0.27, 이완기 혈압 –0.34로 나타나며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스마트폰을 사용한 건강관리의 효과는 직접적이기보다는 자기 관리정도가 높아질 때 그 효과를 증대시켜 건강관리에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김주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고혈압 환자들에서 그동안 밝혀내지 못했던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강관리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미가 있다”며 “연구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강관리는 환자가 주도적으로 자기관리를 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을 때 효과가 나타나므로 모바일 헬스케어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에는 환자의 의지를 고취시켜 자기관리정도(PAM)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겠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해외학술지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최근호에 게재되며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