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의료, 건강관리서비스' 등 통해 창조경제 구현
상태바
'원격의료, 건강관리서비스' 등 통해 창조경제 구현
  • 전양근 기자
  • 승인 2013.05.15 11: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의료산업 생태계 비즈니스 발전이끌 제도개선!
보사연 김대중 박사, 창조경제 대토론회서 밝혀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선 보건의료산업 개별 유망분야에 대한 R&D 집중지원도 중요하나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생태계의 비즈니스 환경을 발전시키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법과 제도개선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제시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대중 부연구위원은 5월15일 JW매리어트호텔에서 열린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제2차 창조경제 종합대토론회에서 '보건의료부문  창조경제 구현방안'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김대중 박사는 창조경제구현 가능분야로 원격의료, 건강관리서비스, 보건의료정보, 의료관광 및 병원 해외진출, 바이오의약, 고령친화산업분야를 들고 이 가운데 중 법과 제도 개정만으로 산업간 벽이 손쉽게 무너질 수 있는 분야가 있고, 필요조건은 되나 충분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분야도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법과 제도 개정을 위해 상당한 진통이 뒤따르는 분야도 있을 것이라며 논의과정에서 야권 및 의료계 일각 및 시민·소비자단체의 집요한 반대로 벽에 부딪힌 원격의료, 건강관리서비스 부문을 시사했다.

이같은 관점에서 김 박사는 생명과 건강을 다루는 보건의료분야는 산업간 또는 기술과 산업간 융합에서 제약조건이 타 산업보다 크다는 점을 깊이 인식해 무엇보다 이해 당사자들간의 공감대 형성이 긴요하다고 역설했다.

역대 정부에서 보건의료산업을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인식하고 집중투자해 왔으나 통계상 보건의료부문 R&D 예산은 정부전체 R&D 예산 15.9조원(2012)의 약 7%정도 밖에 되지 않았고, 민간부문도 선진국에 비해 투자가 저조했다.

김대중 박사는 미국의 경우 정부전체 R&D예산의 약 20%를 보건의료부문에 투자하는 것을 보면 그 격차를 실감할 수 있다면서 개별 유망분야에 대한 R&D 집중 지원도 중요하나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서는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생태계의 비즈니스 환경을 발전시키고, 이를 위해 법과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일례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원격의료가 의사 vs 의사(제1유형), 의사 vs 기타의료인 간 원격의료(제2유형)에 한해 허용돼 미국, 일본 등 주요선진국에 비해 매우 제한적이라며 이규제를 과감히 완화할 경우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와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 이라고 내다봤다.

원격의료분야 제도개선 분야로는 행위주체 측면에서 행위주체 측면에서는 재택·모바일원격진료(3유형) 및 사이버병원·건강관리서비스회사의 원격의료를 허용(4유형)하고 의사·치과의사 등 이외에 간호사 등 에게도 원격지의료인의 자격을 허용한다. 또 외국의료기관에게도 원격의료인의 자격을 허용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고 전향적인 의견을 제시했다.

건강관리서비스는 특히 전자적 방법을 활용한다는 점을 중시해 그 방법과 시설·장비에 관해선서는 원격의료에 준하는 구체적이고 상세한 법적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의료정보산업에 대해선 김 박사는 미래 의료환경인 원격진료 시대를 감안한다면 디지털보건의료정보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포괄적인 법제화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빅데이터 처리기술을 건강관리․의료서비스에 긍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의료정보처리사업자크라우드 또는 데이터센터에 대한 법적 근거와 정보보호 대책 마련도 중요한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