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릭이라고 다 같은 제네릭 아니다
상태바
제네릭이라고 다 같은 제네릭 아니다
  • 최관식 기자
  • 승인 2011.08.23 09: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약계 인사 정부의 약가정책 허점 지적하며 제약업계 지적 귀 기울여 줄 것과 제약사의 반성 촉구

‘신약만이 우수하고 좋은 제품이라는 편견을 버려라.’

최근 정부의 약가제도 개편 및 제약산업 선진화 정책과 관련해 제약업계의 한 인사는 “기존 제품이라도 정부와 제약회사는 우수하고 좋은 원료로 제대로 된 제품을 만들 책임이 있다”며 “이것이 올바른 복지행정”이라고 지적했다.

즉,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의약품을 제네릭과 동일시한다면 저가원료를 사용한 저가의 제네릭의약품만 사용하라는 논리와 같다는 것.

이 관계자는 “특허가 만료된 제품이라 하더라도 원개발국 제품이나 최초 단독제품의 경우 국내 도입 시 고가의 라이선싱 계약 혹은 높은 원료가격을 부여받고 도입된 만큼 제네릭이 출시됐다 하더라도 비우월적 위치에 있는 국내제약사가 원료 및 공급가격을 쉽사리 인하할 수 없다”며 “설사 일정부분 인하가 되더라도 중국이나 제3국에서 생산되는 원료가격과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제네릭이라고 해서 다 같은 제네릭이 아니라는 게 이 관계자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다. 제조 시 사용된 원료나 제조과정, 유통 및 사후관리 등에서 질적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정부의 약가정책은 모든 제네릭을 차별 없이 대함은 물론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과 동일시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 관계자는 “제네릭 가격 정책의 허점은 정부의 정책 가운데 한 가지 예를 든 것에 불과하다”며 “지금이라도 정부는 제약회사의 주장을 적극 검토하고 수렴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제약업계도 이번 기회에 정부가 요구하는 점을 간과하지 말고 국민 건강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지 깨닫고 반성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