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자 건강 악화 이유 찾아보니..
상태바
노숙자 건강 악화 이유 찾아보니..
  • 윤종원
  • 승인 2006.02.17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원섭 교수, 사회적 지지체계 단절 제시
의대 교수가 직접 면담을 통한 사례연구로 대전지역 노숙인의 건강실태를 짚는 보고서를 냈다.

을지의대 예방의학교실 유원섭 교수는 17일 대전지역 노숙인을 직접 면접조사한 `대전시 노숙인들의 건강문제와 사회적 지지체계" 보고서에서 "노숙인을 보호할 사회적 지지체계가 미흡해 노숙인의 건강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보고서에서 유 교수는 쪽방생활자 A(50)씨와 거리노숙인 B(38)씨 등 2명을 직접 면담하고 이들이 어떻게 의료서비스의 지원을 받지 못해 건강이 악화됐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업에 실패하고 1998년 부인과 이혼한 A씨는 현재 대전시 동구 중동의 월세 13만원짜리 쪽방에서 동료 1명과 함께 거주하면서 월급 60만원의 주차장관리원과 모텔관리원 등을 전전해왔다.

A씨는 2000년 노숙인 쉼터에 입소하면서 결핵과 당뇨병 진단을 받고 2004년에는 급성 심근경색증까지 앓게 됐지만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당뇨는 약물치료만 받고 심근경색도 심장재단의 무상지원으로 1차 수술만 받았으며 2차 수술도 무상으로 지원된다는 사실을 몰라 결국 2차 수술은 포기했다.

B씨의 경우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2003년 오른쪽 다리를 절단하고 2004년에는 말기 간경화와 만성신부전증 진단을 받았으나 오랜 노숙인 생활로 복수가 심하게 차올라 최근 시민단체의 도움으로 병원에 입원한 상태였다.

장애등록을 하면 의족을 무료지원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그는 알지 못했고 간경화 진단 이후에도 계속 술을 마셨으며 건강검진은 단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데다 사회복지사나 쪽방상담자를 만나본 적도 없었다.

유 교수는 면담조사를 통해 "노숙인은 가족이나 의료기관, 시민단체 등의 지지체계와 단절돼 병을 체계적으로 치료할 기회를 얻지 못했고 기존 사회안전망이 존재해도 제도 자체를 알지 못한 이들은 필요한 도움을 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노숙인 및 쪽방 생활자에 대한 지원이 거리급식이나 간단한 무료진료 등 시혜적 성격에 그치고 있다고 유 교수는 덧붙였다.

그는 이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지역 시민단체와 행정당국, 전문가 등이 적극 협력해 노숙인 진료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쉼터나 무료급식소 등에서 노숙인 환자 조기발견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숙인의 건강을 다룬 유 교수의 보고서는 17일 오후 대전 기독교연합봉사관에서 열리는 무료진료소 `희망진료센터" 의료토론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