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화학회 김효석 의원과 공동으로
김효석 의원은 한국노화학회와 공동으로 2월8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노화과학기술연구촉진법 제정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날 공청회 발제자로 나선 서울대 의대 박상철 교수는 우리 사회가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를 당연시 하여 왔던 시각에서 벗어나서 이제는 생애 마지막 순간까지 건강하고 활기차게 능동적으로 국가와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활동하도록 유도하는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며 이를 위해서는 건강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노화과학기술의 발전이 중요한다고 강조할 예정이다.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서게 되는 서울대 보건대학원 조영태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건강수명이 평균수명에 비해 크게 낮고, 서로 간의 차이도 거의 줄어들지 않고 있기 때문에 질병을 지니고 살게 될 고령인구의 크기가 앞으로 계속 늘어나 의료 및 복지부양을 위한 사회적 부담이 크게 증가하게 될 것이라며, 건강수명을 1년 연장하면 최소한 3조4천억원, 5년을 연장하면 17조원의 사회적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고 주장할 예정이다.
이어 정부가 2010년까지 3조4천억 원을 투자해 건강수명을 72세로 연장하기 위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절주, 흡연, 운동, 암 검진, 구강보건, 노인보건 등 건강증진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고 건강수명 연장을 위한 근본적인 접근은 바로 노화과학기술의 육성이며, 이와 동시에 육성된 과학기술의 혜택이 형평하게 분배될 수 있는 사회적 제도적 환경을 마련하는 일도 함께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하게 된다.
단국대 신득용 교수는 노화과학기술연구 촉진의 기반을 조성해 노화과학을 보다 효율적으로 육성 발전시키고 그 개발기술의 산업화를 촉진해 국민복지의 향상 및 국민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노화과학기술촉진법의 시안을 발표할 예정이며 과기부 이상목 국장, 부산대 정해영교수, 한림대 연병길 교수 등이 토론에 참여한다.
※건강수명이란?
단순히 얼마나 오래 살았느냐가 아니라 실제로 활동을 하며 건강하게 산 기간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선진국에서는 평균수명보다 중요한 지표로 인용된다.
2000년 6월 WHO(세계보건기구)는 세계 각국의 건강수명을 산정하여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세계 각국이 건강정책을 수립하는 데 참고지표가 되도록 앞으로는 이를 정기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건강수명은 종래 발표해 오던 평균수명에 삶의 질이라고 할 수 있는 건강상태를 반영시킨 것으로, 질병의 경중에 따라 활동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건강이 나빴던 햇수를 산출하여 이를 전체 평균수명에서 뺀 것이다.
한국인 건강수명은 65세로, 세계 191개국 중 51위이다. 제1위는 일본으로 74.5세였으며, 2위는 73.2세인 오스트레일리아, 3위는 73.1세인 프랑스, 4위는 73세인 스웨덴이었다. 미국은 70세로 24위, 중국은 62.3세로 81위, 러시아는 61.3세로 91위였다. 북한은 52.3세로 137위를 기록했다.
건강수명이 가장 짧은 국가는 아프리카 시에라리온으로 25.9세였다. 니제르와 말라위는 각각 29.1세와 29.4세로,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가 짧게 나타났다.
1999년 현재 기준으로 한국인 평균수명은 74.3세(남자 67.7세, 여자 75.7세)이다. 건강수명이 65세인 한국인은 일생 중 거의 10년 가까운 기간을 질병이나 부상 등의 삶을 살고 있는 셈이다.
저작권자 © 병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