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 헌혈자 비율, 42%로 확대시킨다
상태바
중장년 헌혈자 비율, 42%로 확대시킨다
  • 최관식 기자
  • 승인 2018.04.25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정적 혈액 수급 전략 담은 혈액사업 중장기 발전계획(2018~2022) 확정
정부는 2022년까지 30대 이상 중장년층 헌혈자 비율을 현행 29%에서 총 헌혈자의 42%로 확대하는 내용의 혈액사업 중장기 발전계획(2018~2022)을 확정했다.

또 혈액감시체계 내 혈액정보추적률을 현행 75%에서 2022년까지 99%로 세계 최고 수준으로 향상시킴과 아울러 국민 눈높이에 맞춘 수혈관리체계 마련을 위해 의료기관의 수혈감시체계를 확대키로 했다.

이와 함께 수혈에 부적합한 혈액을 활용해 의약품이나 의료기기 개발 등을 위한 산·학·연 공동연구용으로 지원을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4월24일 혈액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향후 5개년(2018~2022)간의 안정적 혈액 수급 전략을 담은 ‘혈액사업 중장기 발전계획’을 확정·발표했다.

국민이 신뢰하고 안심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혈액서비스를 제공하고 안정적인 수급을 위한 기본방향으로 ⓛ중장기 혈액 수급 안정 ②혈액 사용 적정 관리 ③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수혈관리체계 구축 ④미래 수요대비 지속가능성 확보 등 네 가지 부문에 각 부문별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첫째, 중장기 혈액수급 안정을 위해 연간 헌혈량 목표관리제도를 도입하고 헌혈교육 확산, 다회 현혈자에 대한 예우, 헌혈 인프라 확충, 희귀 혈액제제의 안정적 공급방안을 마련했다.

매년 수요량에 기반해 혈액 자급에 필요한 적혈구 제제, 혈소판, 혈장의 연간 필요량을 정하고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업을 통해 목표를 관리한다.

10~20대 인구감소로 인한 헌혈부족이 예상됨에 따라 중장년층 헌혈자 비율이 확대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헌혈 나눔 문화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혈액원 견학, 헌혈 과학관·홍보관 운영을 확대하고, 아울러 헌혈의 필요성이 정규 교육과정(교과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정책연구도 추진할 계획이다.

다회 헌혈자에게는 빈혈검사를 통해 철분제를 제공하는 등 건강관리 서비스 지원 및 직장인의 헌혈 접근성 확대를 위해 ‘헌혈의 집’ 근무시간 및 요일 탄력근무제도 시행으로 편의를 제공한다.

노후장비 적기 교체를 통한 혈액검사의 신뢰도 제고, ‘헌혈의 집’ 신설(13개소) 및 환경개선(24개소)으로 휴식공간을 마련해 헌혈자 편의 증진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희귀혈액형 등록자의 가족(다문화 가정 포함)을 등록헌혈자로 연계해 검사비를 지원하고 RH- 혈액형 응급환자를 위한 24시간 헌혈 및 채혈 가능 시스템을 구축한다.

둘째, 혈액 사용량 적정 관리를 위해 헌혈부터 수혈까지 통합적 정보시스템(DB)을 구축하고, 혈액 사용량 감축을 위해 노력하는 의료기관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혈액원과 의료기관의 혈액수급에 대한 통합 정보관리시스템(DB)을 구축해 주기적으로 분석·상호 공유 혈액의 적정사용을 유도하고 혈액정보추적률을 2017년 75%에서 2022년 99%까지 높여나갈 계획이다.
 
의료기관에는 안전하고 적정한 수혈을 위한 지침·활용을 권장하고 필요 시 종합병원 내 규모에 따라 수혈의 안전성 및 적정성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수혈관리위원회를 설치하는 법안 개정을 추진한다.

또 과도한 수혈에 따른 수혈 부작용을 줄이고, 수혈이 고려되는 환자의 수술관련 치료를 최적화해 혈액사용량이 감소될 수 있도록 ‘환자혈액관리(Patient Blood Management)’ 활성화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3천960원인 혈액관리료 인정기준과 관련해 전문인력 배치에 대한 차등기준 적용으로 중소의료기관 참여를 유도하고 환자혈액관리 활성화 노력에 따라 요양급여를 차등지급하는 등 수가도 개선할 계획이다.

셋째, 의료기관의 수혈관련 감시체계를 확대하고, 수혈부작용 예방을 위해 백혈구 제거 적혈구 제제 등 특수혈액 제제 공급 확대 및 혈소판에 대한 세균감염 관리 강화, 의료기관 수혈에 대한 적정성 평가를 추진할 계획이다.

수혈의료기관은 혈액관리 관련 오류 및 수혈 후 이상증상 등을 한국혈액감시체계 수혈안전감시시스템(질병관리본부)에 참여하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수혈 후에 발열 등 면역성 이상 증상 예방을 위해 백혈구를 제거한 적혈구제제는 2022년까지 전면도입하고, 성분채혈 혈소판의 공급은 2017년 48%에서 2022년 60%로 확대한다.

국민건강보험 재정여건, 일반제제와 특수혈액제제의 제조비용 등을 분석해 특수 혈액제제 공급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혈액수가를 개정할 계획이다.

혈소판은 유효기간(상온 5일)을 고려해 제조 후 72시간이 경과한 제제를 수혈할 경우 수혈 직전에 세균검사를 실시하도록 하고, 수혈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사용량, 수혈 안전성 지표 중심의 ‘수혈적정성평가’를 위한 정책연구도 추진한다.

권역별로 지역거점 수혈관리병원을 지정해 지역 내 수혈관련 교육 및 자문 등을 실시하고 수혈부작용 발생 원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표준검사실도 운영할 계획이다.

수혈관리네트워크 구축으로 거점병원 수혈의학 전담교수 및 전문의들이 협의체를 구성해 주기적 수혈 교육 및 수혈오류 사례 방지 등 개선방안을 공유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재난 등 위기상황 발생 시 정부, 혈액원이 의료기관과 함께 위기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수혈 부적합으로 폐기되는 혈액을 의약품이나 의료기기 개발 등에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혈액부족감지 시기부터 복구활동까지 정부·혈액원·의료기관이 함께하는 민관합동 혈액수급 위기 대응 시스템(혈액공급 위기대응 매뉴얼)을 구축하고 국가재난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계획이다.

수혈 부적합으로 판정된 폐기대상 혈액을 산·학·연 등 공동연구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관련 지침 또는 가이드라인을 제정, 운영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강도태 보건의료정책실장은 “2018~2022 혈액사업 중장기 발전계획이 확정·발표됨에 따라 보다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혈액수급 기반마련으로 수혈 의료서비스 질 향상이 기대된다”며 “이번 중장기 사업계획이 차질 없이 시행될 수 있도록 컨트롤타워를 구성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