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 노출 많으면 정신질환 확률 올라가
상태바
납 노출 많으면 정신질환 확률 올라가
  • 최관식 기자
  • 승인 2016.04.14 08: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윤진하 교수팀 5만여 명 남성근로자 대상 분석 결과
납에 높은 농도로 노출됐을 경우 정신질환으로 치료를 받을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조증과 울증을 보이는 정동장애(情動障礙)를 겪을 가능성이 높았다. 아시아 지역에서 처음으로 시행된 혈액 중 납 농도와 정신질환과의 관계를 밝힌 논문이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윤진하 교수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직업환경학과 안연순 교수는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특수건강진단으로 수집된 남성 근로자 5만4천788명의 혈액 내 납성분과 정신질환 발생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혈액 내 납성분 농도에 따라 네 가지 그룹(1분위 <4.10㎍/dl, 2분위 <6.04㎍/dl, 3분위 <10.00㎍/dl, 4분위 ≥10㎍/dl)으로 분류했다.

조사 대상자 5만4천788명 가운데 정신질환을 겪어 병원 입원 치료를 받은 근로자는 모두 223명이었다.

연구팀은 정신질환으로 입원한 근로자를 한국표준질병 사인분류에 따른 항목분류을 실시하고, 항목별 혈액 내 납성분 함유량에 따른 정신질환 발생 정도를 구했다.

연구결과 정신활성물질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 항목(F10-F19)의 경우 혈액 내 납 농도가 10㎍/dl 이상인 경우(4분위)엔 4.10㎍/dl 이하인 경우(1분위)보다 입원치료를 받을 위험도가 1.96배 높게 나타났다. 특히 4분위 집단은 1분위 집단에 비해 정동장애 항목(F30-F39)으로 입원할 위험도가 2.59배 높게 측정됐다.

윤진하 교수는 “생활 주변에 중금속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이 존재하기에 중금속 노출 위험도는 항상 존재한다. 이번 연구는 혈액 중 납의 농도와 정신질환 발생 관계를 대규모로 연구한 아시아 지역 최초의 연구 결과여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여러 종류의 중금속 중 대표적 물질로 취급되는 납은 소화기 장애, 신장 독성과 혈액 독성을 일으키며 생체 반감기가 매우 길어 저농도 만성노출에서 말초 및 중추 신경계 장해가 보고됐다. 또 어린이 지능 발달 저해 등 발달 독성도 보유하고 있음이 알려졌다.

한편 이 연구논문은 세계정동장애학회지인 정동장애저널(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에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lead level and clinical mental disorders in fifty thousand lead-exposed male workers(남성 근로자 5만명의 혈액 내 납 농도와 정신질환 발생 간의 상관성)’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