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유행으로 카카오 엔터테인먼트는 그동안 재택근무를 원칙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사무실에 출근할 수 있도록 운영돼왔다.
그러나 올해 3월부터는 사무실 출근이 원칙이 됐고, 필요한 경우에만 재택근무를 할 수 있도록 방침을 바꿨다.
다수의 IT 기업들도 재택근무를 축소하고 사무실 출근을 독려하는 양상이다.
이처럼 재택근무를 둘러싼 분위기가 완전히 바뀐 이유는 무엇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필요에 의해 재택근무를 도입할 때 조직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일까?
고용노동부의 ‘재택근무 종합 매뉴얼’에 따르면, 재택근무란 근로자가 자택 등 소속 사업장이 아닌 장소 중 사용자와 합의하거나 그 승인을 받은 장소에서 소정 근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공하는 근무 형태를 말한다.
재택근무는 그동안 코로나19로 인해 근로자 간 대면접촉을 줄이는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도입됐으나 그 외에도 근로자에게는 불필요한 회의나 보고 등이 줄어 업무효율이 향상되고, 출퇴근에서 오는 피로를 줄여 실적 향상을 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업도 재택근무를 통해 불필요한 업무 공간 축소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기업 이미지를 향상시켜 우수인력을 유치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으로 인식돼 왔다.
그러나 재택근무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한계를 갖는다.
첫째, 과연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환경인지에 대해 의문이 있다.
재택근무를 통해 근로자가 자율적으로 근무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창의성에 도움이 된다고 보는 견해도 있는 반면, 대면 환경에서 밀접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혁신이 도출된다고 보는 견해도 있기 때문이다.
창의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대표적인 조직인 구글은 코로나19 대유행이 사그라들기 전인 2021년에 ‘1인용 격리 모듈 사무실’을 만들어서 근로자들을 출근시킬 만큼 대면 환경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인 바 있다.
둘째, 사무실 내 인적 네트워크 형성 기회가 상실된다는 문제가 있다.
근로자들은 통상 출근해 같이 식사하면서 유대감을 쌓고 자신에게 주어진 업무 외적인 맥락이나 상황을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재택근무는 이러한 기회를 상실토록 한다.
셋째, 재택근무는 근로자의 정신 및 신체 건강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재택근무로 출퇴근 시간이 줄어든다는 점은 하루 운동량이 줄어든다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동료들과의 대면 접촉 기회가 줄어들어 고립감을 느끼는 근로자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우울 또는 불안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원거리에 사는 우수 인재를 영입하거나 자율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젊은 세대 유치를 위해 재택근무를 도입하거나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들이 있다.
고용노동부에서도 재택근무제를 도입한 기업 중 우선지원대상기업에 해당할 경우, 근로자당 연 최대 360만 원의 간접노무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재택근무를 위해 정보시스템, 보안시스템 등을 설치하는 우선지원대상기업에는 요건 충족 시 사업주 투자비용의 50~80% 가량을 지원하는 등의 장려 정책을 펴고 있다.
결국 재택근무제의 문제점은 분명 있더라도 일정한 경우 그 도입이 필요한데, 이때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효과를 극대화하는 조직의 운영 방안이 중요해지는 것이다.
사측에서 고려할 수 있는 재택근무의 핵심성공요인은 무엇일까?
첫째로, 하이브리드 재택근무 즉, 근무일 중 일부는 재택근무이고 일부는 출근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택근무의 장점을 일부 누리면서도 100% 재택근무 시의 한계점을 완화할 수 있다.
둘째로, 재택근무 적합 직무를 우선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인사혁신처는 재택근무에 적합한 업무의 특성으로 ‘스스로 업무 계획을 세우고 업무를 자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업무’, ‘관리 감독을 원격으로 할 수 있거나 결재나 보고의 빈도가 낮은 업무’ 등을 제안한 바 있다.
가령, 여행사의 온라인 고객 문의에 상담업무, 병원의 의학 관련 블로그 작성 업무가 해당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