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급여 보고 대상 2024년부터 확대
상태바
비급여 보고 대상 2024년부터 확대
  • 최관식 기자
  • 승인 2022.12.15 15: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급여 진료비용 등의 보고 및 공개에 관한 기준’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강준 의료보장관리과장
강준 의료보장관리과장

정부는 비급여 보고제도 시행을 통해 비급여 현황을 면밀히 파악, 근거에 기반한 비급여 관리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의료소비자에 대한 비급여 정보 제공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기존 672개 항목이었던 보고 대상이 2024년부터는 총 1,212개 항목으로 약 2배 늘어난다.

보건복지부는 비급여 보고제도의 세부적인 사항을 규정한 ‘비급여 진료비용 등의 보고 및 공개에 관한 기준’ 고시를 12월 16일(금)부터 1월 25일(수)까지 행정예고했다.

이번 개정안은 지난 2020년 12월 의료법 제45조의2 개정을 통해 도입된 ‘비급여 보고제도’의 시행을 위해 기존 ‘비급여 진료비용 등의 공개에 관한 기준’ 고시를 전면 개정한 것이다.

그간 보건복지부가 비급여 현황 파악과 비급여 관리 정책을 추진할 때 활용할 수 있었던 자료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실시하는 ‘진료비실태조사’였으나, 이는 표본조사로 비급여 항목별 진료 규모와 같은 상세한 정보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 기존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를 통해 비급여 항목별 가격 정보만을 제공, 환자가 특정 질환이나 수술·시술에 대한 총진료비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얻기 어려웠다.

정부는 비급여 보고제도를 통해 비급여 항목별 진료 규모, 진료 대상 질환 등을 파악하게 되면 기존의 자료들이 가지던 제한점을 상당 부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행정예고안의 주요 내용을 보면 2023년에는 이미 시행 중인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대상을 중심으로 보고를 실시하고 2024년부터는 2023년 대상 항목을 포함해 전체 비급여 규모의 약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하는 주요 비급여들을 보고 대상으로 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2023년 672개 항목에서 치료적 비급여 436개와 약제 100개, 영양주사·예방접종·치과교정술·첩약 등을 포함해 2024년부터는 총 1,212개 항목으로 보고 대상이 늘어난다.

보고를 하는 주체는 전체 의료기관이며 보고 내용은 비급여 항목의 비용, 진료 건수, 진료 대상이 된 질환, 진료할 때 실시한 주 수술/시술의 명칭 등이다.

보고 횟수 및 대상 기간은 병원급의 경우 반기별로 상반기에는 3월, 하반기에는 9월의 진료내역을 각각 보고하며, 의원급은 1년에 한 번 3월의 진료 내역을 보고한다.

또 관련 업무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위탁한다.

보고 방법은 건강보험공단이 지정하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보고하되, 필요한 경우 팩스로 제출할 수도 있다.

비급여 보고 내역에 진료비용이 포함되므로 의료기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앱상의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를 위한 별도의 자료 제출은 필요하지 않으나, 만약 보고 대상 기간 중 진료내역이 없는 진료항목이 있는 경우 해당 항목에 대해 기존에 진료비용 공개를 위해 제출하던 사항을 별도로 제출해야 한다.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의료기관의 행정부담을 덜기 위해 보고에 필요한 자료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지원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개정안이 의료계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해 현장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기 위해 법령 개정에 준하는 40일의 행정예고 기간을 운영한다.

행정예고 기간 중 제출된 다양한 의견을 고려해 고시 개정안을 확정할 예정이며, 개정안을 확정해 발령하게 되면 2023년에 비급여 보고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할 수 있게 된다.

이번 개정안에 대해 의견이 있는 단체 또는 개인은 2023년 1월 25일(수)까지 보건복지부 의료보장관리과로 의견을 제출하면 된다.

강준 의료보장관리과장은 12월 15일 전문기자협의회 취재에서 “이번에 병원급과 의원급 의료기관에 대해 차이를 뒀고, 실제로 진료 데이터를 받는 기간도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뤄질 것”이라며 “의료계에서 추가적인 의견을 주시면 기본 요체를 흐트러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반영할 것이고, 의료계의 협조가 없으면 수행이 어려운 제도인 만큼 계속 상의하면서 운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