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건강정보 약 절반 ‘비전문가’의 ‘경험’이 차지
상태바
온라인 건강정보 약 절반 ‘비전문가’의 ‘경험’이 차지
  • 최관식 기자
  • 승인 2022.11.17 10: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KHEPI), 제2차 건강정보시정권고위원회 개최

포털이나 유튜브 등 온라인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건강정보 중 약 절반이 비전문가에 의한 근거 없는 답변으로 분석됐다. 특히 전문가가 아닌 개인이 근거 없이 건강정보를 제시하거나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정보를 제공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현장, KHEPI)은 11월 16일 본원 국제회의실에서 ‘2022년 제2차 건강정보시정권고위원회’를 개최하고 건강정보 모니터링 사업의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KHEPI는 인터넷 기반 매체를 중심으로 건강정보를 수집해 건강정보의 생산 및 유통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위원회에 보고했다.

이 보고에 따르면 ‘네이버 지식in’을 통한 건강정보에 대한 질문의 주요 내용은 증상 및 질환(48.5%), 치료(22%), 건강식품 및 영양제(11.9%) 순이었다.

질문에 대한 답변 작성자는 비전문가가 43%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들의 답변은 단순 조언인 경우가 많았다.

특히 작성된 답변의 50% 이상은 특별한 근거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를 통해 유통되는 건강정보 관련 콘텐츠는 주로 의학 전문 지식을 가진 이들이 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에 포함되는 건강정보의 근거를 분석한 결과 의료 전문가나 공공기관 등은 의학적 전문 지식을 근거로 제시하고 있었다.

하지만 개인은 근거 없이 제시하거나(39.7%), 경험을 기반으로 제시하는 비율(21.1%)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분석을 통해 온라인 등에서 유통되는 잘못된 건강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올바른 건강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건강정보 게시물 가이드라인’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했다고 KHEPI는 밝혔다.

KHEPI는 지난해 6월 ‘대국민 건강정보 모니터링 사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보건의료계, 커뮤니케이션 학계, 법조계, 민간 등 각계 전문가 12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출범해 운영하고 있다.

‘대국민 건강정보 모니터링 사업’은 국민의 건강정보 접근성 및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위원회는 사업 추진 방향 등 주요 안건에 대한 자문을 담당해 왔다.

이번 2차 회의는 건강정보 게시물 가이드라인 및 건강정보 모니터링 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 내용에 대한 보고를 시작으로 향후 추진 계획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제2차 건강정보시정권고위원회
제2차 건강정보시정권고위원회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에서 수행할 연구용역은 건강정보 관리자뿐만 아니라 생산자, 이용자 모두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한 올바른 건강정보의 생산과 활용을 도모하며, 나아가 건강정보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방안을 제안할 계획이다.

조현장 원장은 “이번 위원회 회의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적극 수용해 국민이 체감하는 건강정보 모니터링 사업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 “이를 통해 근거 없는 건강정보의 확산을 방지하고 올바른 건강정보 제공에 기여해 국민의 건강정보 이해력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KHEPI는 차기 위원회 회의에서 ‘건강정보 게시물 가이드라인’의 현장 적용 가능성 및 실효성을 검토하고, 향후 건강정보 모니터링 정책의 방향성을 논의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