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관련황반변성 유병률 증가세…급여 적응증 확대 필요
상태바
나이관련황반변성 유병률 증가세…급여 적응증 확대 필요
  • 정윤식 기자
  • 승인 2022.04.04 1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보 일산병원, 습성 황반변성의 치료 경향과 안전성 연구
황반변성 치료제 건강보험 확대 이후 추세 분석 및 제언

유병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나이관련황반변성의 급여 적응증 확대 지원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나이관련황반변성은 선진국에서 60세 이상 인구 실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질환으로, 고가의 안구 내 주사치료를 반복적으로 받아야 해 정책적인 지원 없이는 치료를 지속하기 힘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국내에서는 황반변성 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2009년부터 희귀난치성 질환 산정특례제도를 도입, 보험 급여 치료 시 총 비용의 10%만 환자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안구 내 주사의 보험 적용 횟수를 늘려 현재 교정시력 0.2 이상의 환자는 횟수 제한 없이 치료 가능하며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이처럼 새로운 약제의 도입과 보험 정책의 변화로 인해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치료행태 및 의료비 또한 변화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바,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정은지 교수 연구팀은 최신 치료 경향과 안전성을 연구했다.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산정특례 코드(V201)를 부여받은 환자(만 40세 미만 제외)를 대상으로 주사제 이용 및 급여 확대에 따른 치료행태 변화 등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결과, 40세 이상 인구에서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유병률은 2010년 1만명 당 39.3명에서 2019년 50.8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유병률은 연령군 별로 분석했을 때 90세 이상 군에서 1만명당 264.38명으로 가장 높았고, 이후 연령이 감소할수록 유병률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모든 연령에서 여성보다 남성의 유병률이 높았다.

치료현황을 살펴보면 나이관련황반변성에 대한 보험 급여 정책은 주로 주사 급여 횟수를 제한하는 것으로 조정돼 왔는데, 급여 횟수가 처음 5회로 시작해 현재 무제한(시력 기준 추가)으로 확대 시행될 때마다 총 주사 횟수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주사를 맞은 횟수의 분포 역시 환자가 진단된 연도에 따라 급여 횟수의 상한선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이는 정책이 확대되면서 주사치료가 계속 필요한 황반변성 환자들이 보험 급여 혜택을 더 받게 되는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는 의미라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반면 신규 발생 환자에서 보험 급여로 루센티스 또는 아일리아 주사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비율 및 사용한 주사제의 종류를 확인한 결과, 2010년에서 2019년까지 주사치료 시행 비율은 약 65%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보험 급여로 주사치료를 받지 않은 나머지 35%는 비급여인 아바스틴으로 대부분 치료받은 것으로 추정됐다.

정은지 교수는 “보험 급여 주사 횟수는 점진적으로 확대됐으나 급여 적응증이 황반하신생혈관을 가진 경우와 최대 교정시력이 0.2 이상일 때로 제한돼 치료가 필요한 환자인데도 부득이하게 비급여 주사를 맞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 교수는 “황반을 포함하지 않는 신생혈관을 가진 황반변성의 경우 치료 여부에 따라 시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더 높은 만큼 급여대상에 황반곁신생혈관을 가진 경우를 포함하는 등 적응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그는 이어 “치료제가 고가이고 반복 주사를 시행하는 만큼 의료비용의 증가가 문제가 될 수 있지만, 특허 만료가 임박한 치료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약제 개발 및 사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면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의료비 절감과 치료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안구 내 주사의 안내염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안구 내 주사 시행 후 급성안내염의 평균 발생률은 0.0194%로, 연도에 따른 특별한 변화 없이 유사한 발생률을 보였으며 주사제 종류별로는 루센티스 0.014%, 아일리아 0.0254%로 집계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