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개원의 65%, ‘향후 추이보면서 원격의료 참여여부 결정’
상태바
내과 개원의 65%, ‘향후 추이보면서 원격의료 참여여부 결정’
  • 정윤식 기자
  • 승인 2021.12.06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내과의사회, 회원 대상 원격의료 관련 설문조사 결과 공개
원격의료에 대한 부정적 생각 여전…필연 정착에는 10명 중 4명 공감
박근태 회장, “책임소재 명확히 하고 1차 의료기관에만 한정” 주장
내한내과의사회 박근태 회장
내한내과의사회 박근태 회장

내과 개원의 10명 중 6.5명은 입법과정 등 향후 추이를 살펴보면서 원격의료 참여 여부를 결정할 생각인 것으로 드러났다.

원격의료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은 여전하지만, 책임소재 문제 등 원격의료 입법과정에서 내과 의사들이 얼마나 만족할 만한 절충점이 나오느냐에 따라 미래 의사결정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게다가 이들 대부분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선별적이든 필연적이든 원격의료가 일부 정착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어, 결국 의료계와의 충분한 협의와 국민적인 공감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내과의사회(회장 박근태, 박근태내과의원)는 12월 5일 서울 용산드래곤시티에서 ‘제24회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최근 내과의사회 회원을 대상으로 한 원격의료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에 응답한 회원은 1081명이며, 연령대는 30대 118명(10.94%), 40대 311명(28.82%), 50대 425명(39.39%), 60대 이상 225명(20.85%)이다.

응답자 중 85.49%(919명)가 1차 의료기관 개원의였으며, 나머지 14.51%는 2차 이상 병원급 원장이었다.

병·의원 위치는 서울·인천·경기가 절반 이상인 562기관(52.09%)을 차지했다.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32.53%인 351명이 원격의료를 ‘매우 부정적’으로 바라봤다.

‘조금 부정적’은 27.80%(300명)로, 사실상 원격의료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내과 의사가 60%(매우 부정적+조금 부정적)를 넘은 셈이다.

이어 ‘보통’은 20.76%(224명), ‘조금 긍정적’ 14.92%(161명), ‘매우 긍정적’ 3.99%(43명)로 나타났다.

내과 의사들이 생각하는 원격의료의 범위는 처방전 발행까지였다.

심전도 같은 웨어러블 기기와 센서 등을 통한 데이터 분석까지 원격의료로 포함해 생각하는 내과 의사가 사실상 많지 않았던 것.

‘원격의료의 범위를 어디까지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중 504명(47.55%)이 ‘재진 환자에게만 화상, 메신저 프로그램, 전화 상담을 통한 진료 및 처방전 발행’이라고 답했고 248명(23.40%)은 ‘초·재진과 무관한 처방전 발행’으로 봤다.

반면 ‘처방전의 발행 없는 재진 환자에 대한 화상, 메신저 프로그램, 전화 상담을 통한 진료’가 원격의료라고 답한 회원은 133명(12.55%)에 머물렀고 ‘웨어러블 기기(심전도 등)와 센서 등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 분석’을 원격의료라고 본 회원은 58명(5.47%)에 불과했다.

실제로 전화 상담 후 처방전까지 발행하는 비율을 묻는 문항에서는 답변한 회원 525명 중 300명(57.14%)이 ‘10% 이하’의 비율로 처방전을 발행한다고 했다.

이어 ‘10~30%’ 31명(5.90%), ‘30~50%’ 26명(4.95%), ‘50% 이상’ 168명(32%) 등이다.

원격의료 시 가장 우려되는 사항(복수선택 가능)은 △충분한 진찰을 하지 못해 오진 가능성이 높다(884명) △원격의료 관련 플랫폼의 출현으로 개원의들이 종속된다(537명) △대형병원으로의 환자 쏠림 현상이 더 심화된다(515명) △의료 정보의 유출 및 해킹으로 인한 피해(291명) △의료영리화의 가속화(275명) △기타(36명) 순으로 나왔다.

‘향후 원격의료 관련 입법이 현실화된다면 참여 의향이 있는가’라는 물음에서 전체 응답자 중 64.65%인 695명이 ‘추이를 보면서 참여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답했으며,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한 회원도 102명(9.49%) 존재했다.

아울러 ‘대면진료만 유지하겠다’고 답한 내과의사는 278명(25.86%)으로 집계됐다.

끝으로 ‘본인의 참여 여부과 상관없이 한국 사회에서 원격의료가 정착될 것으로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454명(42.04%)의 내과의사회 회원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필연적으로 정착될 것’이라고 답했고, 그 뒤를 ‘격오지나 교도소 등 특수상황에서만 선별적으로 시행될 것’ 323명(29.91%), ‘국토가 좁고 의료기관이 밀집한 한국의료 특성상 성공하지 못할 것’ 303명(28.06%)이 잇고 있었다.

주목할 부분은 ‘원격의료는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답한 비율(303명, 28.06%)과 앞서 ‘향후 원격의료 관련 입법이 현실화된다면 참여 의향이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면진료만 유지하겠다’고 답한 278명의 비율(25.86%), 그리고 원격의료를 ‘매우 부정적’으로 바라본 351명(32.53%)이 모두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 박승태 회장은 대면 진료의 원칙이 흔들림 없는 상황에서 원격의료 관련 법안이 의료계와 어디까지 협의하느냐에 따라 회원들이 뜻이 변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박 회장은 “원격의료 수가 문제와 함께 가장 중요하게 해결해야 할 것은 오진 시 책임소재”라며 “책임소재 문제가 선결되지 않는 이상 원격의료는 절대 활성화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이어 “원격의료를 1차 의료기관에만 한정해야 대형병원 쏠림 현상 심화를 방지할 수 있다”며 “원격의료 플랫폼을 가진 전문 의료기관이 생겨나는 것도 막아야 개원의들이 선의의 피해를 받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