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의료 질 전반적으로 개선
상태바
우리나라 의료 질 전반적으로 개선
  • 최관식 기자
  • 승인 2021.11.29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OECD Health at a Glance 2021’ 분석 결과

우리나라 의료 질 수준이 모든 영역 대부분의 지표들이 과거와 비교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신보건 진료 영역의 질 수준이 선진국 평균보다 낮았다.

보건복지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발간한 ‘한눈에 보는 보건의료(Health at a Glance) 2021’에 수록된 지표들을 통해 우리나라 의료 질의 현황을 분석, 그 결과를 11월 29일 발표했다.

‘한눈에 보는 보건의료’는 OECD에서 각 회원국의 건강과 보건의료제도 성과에 대한 주요 지표를 수집·비교해 2년마다 발간하는 간행물이다.

보건복지부는 ①급성기 진료 ②만성질환 진료 ③약제처방 ④정신보건 진료 ⑤암 진료 ⑥환자경험 등 총 6개 영역에 대해 우리나라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각 국가 현황을 비교·분석했다.

우리나라 의료 질 수준은 모든 영역에서 대부분의 지표들이 과거와 비교해 개선됐다.

다만 약제처방에서 환자안전과 관련된 ‘장시간 지속형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처방, 다제병용 처방 등이 OECD 평균보다 크게 높았고, 정신보건 진료 영역의 질 수준이 OECD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급성심근경색증 30일 치명률은 8.9%로 10년 전인 2009년의 10.4%와 비교해 개선됐으나, OECD 평균인 6.6%보다는 높았다.

반면 허혈성 뇌졸중 30일 치명률은 3.5%로 OECD 국가 평균인 7.7%의 절반 이하로 매우 우수했다.

2019년 만성폐색성폐질환, 울혈성 심부전으로 입원한 환자는 각각 인구 10만명당 152.3명, 88.4명으로 OECD 평균인 170.7명, 220.0명보다 적었다

반면 당뇨병과 천식으로 입원한 환자는 각각 인구 10만명당 224.4명, 65.0명으로 OECD 평균인 127.1명, 37.5명보다 많았다.

2019년 오피오이드(마약성 진통제) 총 처방량은 일 평균 약제 처방 인구 1,000명당 0.96DDD로 OECD 국가 평균인 14.8DDD보다 월등히 낮았다.

반면 65세 이상 환자의 장시간 지속형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처방률은 약제 처방 인구 1,000명당 124.4명으로 OECD 평균인 49.9명의 3배 수준이었다.

2019년 조현병과 양극성 정동장애 환자의 초과사망비는 각각 4.5, 4.4로, OECD 평균인 3.7, 2.9보다 높았다.

또 2018년 정신질환 퇴원 후 30일, 1년 내 자살률도 각각 0.19%, 0.65%로 OECD 평균인 0.13%, 0.47%보다 높았다.

2010~2014년 암 환자의 5년 순 생존율은 자궁경부암 77.3%, 식도암 31.3%로 OECD 평균(65.5%, 16.4%)보다 높았고, 흑색종은 59.9%로 OECD 평균(83.0%)보다 낮았다.

2020년 의사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다는 응답은 91.0%로 OECD 평균(91.1%)과 유사했지만, 진료시간이 충분했다는 응답은 75.0%로 OECD 평균(81.7%)보다 낮았다.

급성기 진료

2019년 급성심근경색증으로 입원한 45세 이상 환자의 30일 치명률은 8.9%로 OECD 평균(6.6%)보다 높았다.

반면 허혈성 뇌졸중으로 입원한 45세 이상 환자의 30일 치명률은 3.5%로 코스타리카(2.8%), 일본(3.0%)에 이어 OECD 국가 중 세 번째로 낮았다.

우리나라의 급성심근경색증과 허혈성 뇌졸중 입원환자 30일 치명률은 2009년(10.4%, 4.7%)에 비해 각각 1.5%p, 1.2%p 감소했다.

만성질환 진료

만성질환은 관리를 잘하면 입원을 예방할 수 있는 질환으로 ①당뇨병 ②천식 ③만성폐쇄성폐질환 ④울혈성 심부전 입원율을 통해 의료의 질을 비교했다.

2019년 당뇨병으로 입원한 환자는 인구 10만명당 224.4명으로 지난 10년간 감소하고 있으나, OECD 평균(127.1명)보다 많았다.

반면 당뇨병 악화로 하지 절단을 위해 입원한 환자는 인구 10만명당 2.2명으로 OECD 평균(6.4명)보다 적었다.

천식으로 입원한 환자는 인구 10만명당 65.0명으로 OECD 평균(37.5명)보다 많았으나,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는 인구 10만명당 152.3명으로 OECD 평균(170.7명)보다 적었다.

울혈성 심부전으로 입원한 환자는 인구 10만명당 88.4명으로 OECD 평균(220.0명)보다 적었다.

우리나라의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환자 수는 2009년과 비교해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외래 약제 처방

약제 처방의 질은 처방을 권고하는 ①당뇨병 약제와, 환자안전을 위해 관리가 필요한 ②항생제 ③벤조디아제핀계 약물 ④다제병용 약제 ⑤오피오이드 ⑥항정신병약의 처방으로 비교했다.

당뇨병 처방은 ‘일차선택 항고혈압제’와 ‘지질저하제’의 처방률을 비교했으며 우리나라 처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9년 일차선택 항고혈압제 처방률은 78.6%로 OECD 평균(82.8%)보다 낮았고 지질저하제 처방률은 72.4%로 OECD 평균(67.4%)보다 높았다.

2019년 항생제 총 처방량은 일평균 약제처방 인구 1,000명당 23.7DDD(Defined Daily Dose)로 OECD 평균(17.0DDD)보다 높았다.

이 중 세팔로스포린계와 퀴놀론계 항생제 처방 비중은 39.5%로 OECD 평균(19.4%)보다 높았다.

우리나라 항생제 총 처방량은 2011년(24.3DDD/1,000명/일)에 비해 감소했으나, 세팔로스포린계와 퀴놀론계 항생제 처방 비중은 2011년(35.8%)에 비해 증가했다.

2019년 65세 이상 환자의 ‘장시간 지속형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처방률은 약제 처방 인구 1,000명당 124.4명으로 2011년(241.5명)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으나, OECD 평균(49.9명)보다는 많았다.

같은 기간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장기간 처방률은 65세 이상 약제 처방 인구 1,000명당 10.5명으로 OECD 평균(28.4명)에 비해 적었다.

2019년 75세 이상 환자의 다제병용 처방률은 70.2%로 OECD 평균(46.7%)보다 높으며, 2013년(67.2%)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제병용 처방률은 5개 이상의 약물을 90일 이상 또는 4회 이상 처방받은 환자의 비율을 말한다.

환자의 통증 관리에 처방되는 마약성 진통제로, 약물 의존성과 구토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주의가 필요한 약물인 오피오이드 총 처방량은 2019년 일 평균 약제 처방 인구 1,000명당 0.96DDD로 OECD 국가(평균 14.8DDD) 중에서 두 번째로 적었다.

오피오이드 만성 복용 환자의 비율은 0.19%로, OECD 국가(평균 2.3%) 중에서 가장 낮았다.

2019년 항정신병약 처방률은 65세 이상 약제 처방 인구 1,000명당 41.3명으로 OECD 평균(50.8명)보다 적었으나, 2013년(30.0명)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정신보건 진료

2019년 조현병과 양극성 정동장애 환자의 초과사망비는 각각 4.5, 4.4로 OECD 평균(3.7, 2.9)보다 높았다.

정신질환자의 ‘퇴원 후 1년 내 자살률’, ‘퇴원 후 30일 내 자살률’은 2018년에 각각 0.65%, 0.19%로, OECD 평균(0.47%, 0.13%)보다 높았다.

암 진료

2010~2014년 자궁경부암과 식도암 환자의 5년 순생존율은 각각 77.3%, 31.3%로, OECD 평균(65.5%, 16.4%)보다 높았다.

반면 흑색종 환자의 5년 순생존율은 59.9%로, OECD 평균(83.0%)보다 낮았다.

자궁경부암 5년 순 생존율(2010-2014년 기준)
자궁경부암 5년 순 생존율(2010-2014년 기준)

환자 경험

2020년 외래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 중에서 ‘의사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91.0%로 OECD 평균(91.1%)과 유사했다.

또 환자가 ‘진료·치료 결정 과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87.6%로 OECD 평균(83.8%)에 비해 높았다.

반면 ‘의사의 진료시간이 충분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75.0%로 OECD 평균(81.7%)에 비해 낮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