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뇌질환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 발견
상태바
퇴행성 뇌질환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 발견
  • 최관식 기자
  • 승인 2021.07.12 0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차 의과학대학교 생명과학과, 치료제로서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 가능성 밝혀

난치병으로 알려진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루게릭병, 헌팅턴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할 길이 열릴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차 의과학대학교 생명과학과 석사과정 도현아 학생과 백광현 교수팀은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가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다양한 독성 단백질을 조절한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독성 단백질 축적은 퇴행성 뇌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발병과정과 독성 단백질 분해조절 방법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단지 세포 내의 단백질을 분해하고 이동시켜 체내 평형을 조절하는 유비퀴틴화가 독성 단백질을 분해·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현아 학생과 백광현 교수는 독성 단백질이 유비퀴틴화 과정 중 어떤 요인에 의해 분해·조절되는지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다양한 독성 단백질(amyloid-β, Tau, α-synuclein, TDP-43, Htt 등)이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는 우리 세포 내에 100여 개 존재하는데, 연구팀은 이 중 18개<아래 목록 참조>가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독성단백질을 분해·조절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6개의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UCHL, USP8, USP9X, USP13, OTUB1, USP14)가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독성 단백질을 분해·조절하는 것을 확인했다.

독성단백질을 분해·조절하는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 목록
독성단백질을 분해·조절하는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 목록

도현아 학생은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는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독성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새로운 치료제의 배경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재 진행하고 있는 연구에 이어 정상군과 치매환자 샘플에서 유전자 발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노화관련 SCIE급 국제학술지인 Ageing Research Reviews(IF, 10.895)에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