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블록버스터’ 개발 위해 메가펀드 조성 필수
상태바
‘K-블록버스터’ 개발 위해 메가펀드 조성 필수
  • 박해성 기자
  • 승인 2021.03.31 08: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경화 KIMCo 대표, 민·관협의체 구성 제안
제약바이오협회, K-블록버스터 글로벌 포럼 개최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K-블록버스터’ 개발에 힘써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메가펀드의 조성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아울러 제약바이오기업들의 도전을 지원할 수 있는 민·관협의체의 필요성도 강조됐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가 3월 30일 오전 공식 유튜브 계정을 통해 진행한 ‘K-블록버스터 글로벌 포럼’에서는 제약주권의 실현을 위해 K-블록버스터 신약 개발에 도전해야 하며, 지금이 적기라는 주장이 나왔다.

우선 이날 인사말에서 원희목 회장은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은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에 도전할 충분한 역량을 갖춰가고 있음에도 해외 기술수출이라는 중간 출구전략을 주로 선택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우리가 당장의 기술수출 성과에 만족한다면 우리는 국민의 기대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에 요구되는 기술·자본·인력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답을 찾아야한다”며 “선진 제약강국의 글로벌 블록버스터 성공 사례를 살펴 우리만의 최적화된 전략으로 K-블록버스터 신약 창출을 위한 도전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자로 나선 허경화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 대표는 한국형 블록버스터 창출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했다.

허 대표는 ‘한국형 블록버스터 개발 모델’ 주제 발표에서 초기단계 기술수출 등에 강점이 있지만 혁신신약의 글로벌 임상과 사업화 성과는 미비했던 국내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신약개발 자본시장의 구조적인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선 신약개발 투자를 위한 자본시장을 △정부지원 △민간펀드 △제약바이오기업 등 세 가지로 구분했을 때, 대부분 초기 단계에 R&D·투자 포트폴리오를 집중하고 있거나 임상 후기 R&D 투자에 대한 한계에 부딪혀 기업들이 초기 기술수출에 의존하는 양상이라고 언급했다. 투자규모는 늘고 있지만 블록버스터 개발을 위해 가장 많은 자금을 투입해야 하는 후기 단계 투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간 기업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형태의 민관 합동형 파트너십(PPP)이 요구되며, 우리나라에도 후기 임상에 집중 투자할 수 있는 약 1조원 규모의 ‘메가펀드’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 대표는 대표적인 실례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PPP는 유럽 혁신의약품 이니셔티브(IMI)와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TEMASEK), 후기 임상에 집중 투자하는 민간펀드 블랙스톤 등을 언급했다.

허경화 대표는 “메가펀드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초기 기술수출에서 후기 임상개발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메가펀드를 조성하는 한편, 기술의 혁신성 및 사업성을 기반으로 후보를 선별해 국가대표 신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제약바이오기업과 바이오텍은 각자도생할 것이 아니라 컨소시엄 등을 구성해 뭉치고 기술과 개발 역량의 시너지를 내야할 것”이라고 당부하고, K-블록버스터 개발을 지원할 민·관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