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 올해 큰 성장 예상
상태바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 올해 큰 성장 예상
  • 병원신문
  • 승인 2021.03.30 14: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바이오의약품 산업 분석 및 정책연구’ 보고서 발간
국내·외 시장 및 R&D 동향, 특허 분석과 델파이 조사 통한 경쟁력 분석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코로나19 이후 성장률이 둔화됐지만, 올해부터 빠른 시장 성장률이 예상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국내 바이오의약품 중 항체의약품의 기술 경쟁력을 가장 높게 평가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정책연구센터는 ‘바이오의약품 산업 분석 및 정책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월 30일 밝혔다.

‘바이오의약품 산업 분석 및 정책 연구’(연구책임자 김용민 선임연구원)는 최근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면역항암제 등을 주요 성과로 하고 있는 바이오의약품 산업을 대상으로 국내·외 시장 동향, R&D 동향과 국내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경쟁력을 특허분석과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로 제시했다.

시장 분석 기관인 Evaluate Pharma(2020)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글로벌 제약시장은 약 9,100억달러로 이 중 바이오의약품은 약 29%인 2,660억달러를 차지하고 있는데 2026년에는 35%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Frost & Sullivan(2020)에 따르면 코로나19 영향으로 기존시장 성장률 전망치(Pre COVID-19)에 비해 2020년은 감소하는 영향을 받겠으나 2021년부터는 빠른 성장률을 보이며 2023년에는 기존 시장 규모 전망치를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높은 가격과 항암제 분야에서의 중요성으로 인해 항체의약품이 바이오의약품 전체 매출액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백신은 감염성 질환 증가, 고정적 포트폴리오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7.0%의 성장률이 전망되며, 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가장 높은 시장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바이오의약품 R&D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으며 항체의약품의 R&D 비중이 크지만 CAR-T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의 R&D가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문헌고찰을 통한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 동향 및 특허분석을 통한 국가별 기술 경쟁력 분석, NTIS 자료를 활용한 R&D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글로벌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기준 0.7%(IQVIA, 2020)로 매우 작다.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바이오시밀러의 수출은 증가하고 있지만 바이오의약품 수입액이 매년 증가해 2019년에는 수입 점유율이 60%로 나타났다.

또 바이오의약품 기업들의 인력, 투자액 등 R&D 투자 역량은 규모적으로 글로벌 기업 대비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셀트리온, 녹십자 등 일부 기업들이 생산액과 R&D 투자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양극화된 구조를 보이고 있다.

바이오벤처 등 바이오의약품 R&D에 참여하는 기업의 수, 바이오의약품 파이프라인 비중 및 기술수출 규모가 증가하고 있어 국내 바이오의약품 R&D 역량은 개선되고는 있지만 국내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은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실제 특허분석을 통한 국가별 바이오의약품 기술 경쟁력 분석에서도 우리나라의 기술 경쟁력은 주요 제약 선진국 대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특허 영향력 지수(PII)는 세포치료제 0.6(4위), 백신 1.3(6위), 유전자치료제 0.4(6위), 항체의약품 0.6(9위)로 백신을 제외한 나머지 바이오의약품은 기준값 1 이하로 나타나 기술 수준 열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의 질적·양적 수준을 나타내는 특허 기술력 지수(TS)는 세포치료제 4위(16.6), 유전자치료제 6위(5.4), 항체의약품 9위(202.5), 백신 10위(124.5)로 나타나 국내 바이오의약품은 질적·양적 측면에서 선진국 대비 기술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도 바이오의약품 R&D 투자를 확대하고 있지만 NTIS 분석 결과, 2019년 기준 정부 R&D 투자액은 총 1,566억원 수준으로 8개 부처별로 다수의 과제에 분산된 R&D를 지원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국내 바이오의약품 경쟁력 확보 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진행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바이오의약품 기술 경쟁력은 9점(매우 우수) 기준, 평균 5.8점으로 보통 정도라고 평가했다. 바이오시밀러를 포함한 항체의약품이 7.1점으로 가장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답했고, 유전자재조합단백질의약품, 세포치료제 및 백신은 비슷한 반면 유전자치료제는 4.2점으로 가장 낮게 평가했다.

제네릭·바이오시밀러 개발 통한 경험 및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혁신 신약 개발 경험이 부족하고 타깃 발굴 등 후보 물질 발굴 및 원천 기술 개발의 역량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바이오의약품 R&D 투자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 투자 규모 충분성 및 배분의 적절성 측면에서 5점 이하로 전반적으로 미흡하다고 응답했으며 민간 R&D 투자도 부족하다고 답했다.

국내 바이오의약품 산업이 기술 선도국 대비 경쟁력이 낮은 원인에 대해서는 전략적 R&D 부재, 전문 인력 부족, 정부 R&D 투자 부족과 국내·외 연구 기관간 협력 체계 미흡 등이 제시됐으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우선 순위로는 정부 R&D 투자 확대 및 선택적 집중, 전문인력 양성, 민간 R&D 투자 확대 지원 정책 및 해외 연구기관간 협력 강화 순으로 나타났다.

진흥원은 산업 분석 및 델파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바이오의약품 분야 정부 R&D 확대 및 전략분야별 중점 투자 △민간 바이오의약품 R&D 투자 활성화 지원 △오픈 이노베이션 기반 R&D 생태계 구축 △바이오의약품 R&D 거버넌스 체계 정립 및 중장기 계획 수립 △R&D 가치사슬별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진흥원은 2019년 12월부터 보건산업정책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연구센터를 조직해 운영해 왔고 이 연구보고서는 2020년에 수행된 연구 결과를 발간한 것이다.

해당 보고서는 진흥원 홈페이지(www.khidi.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