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통증과 진한 소변색 ‘횡문근융해증’ 의심돼
상태바
극심한 통증과 진한 소변색 ‘횡문근융해증’ 의심돼
  • 오민호 기자
  • 승인 2018.06.18 13: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8월 덥고 습한 여름철 횡문근융해증 환자 발생률 높아

최근 헬스장을 등록해 운동을 시작한 김우진(가명)씨는 운동 후 상당히 뻐근한 근육통을 느꼈다. 오랜만에 운동을 시작했기에 조금 지나면 괜찮을 거라생각해서 꾸준히 운동을 지속했다. 하지만 점점 심해지는 근육통과 함께 갈색빛의 소변색을 확인하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병원을 찾으니 이름도 낯선 ‘횡문근융해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횡문근은 신체를 움직이는 부위에 붙어있는 가로무늬 근육이다. 고강도의 운동시 에너지 소모량이 증가하면서 근육으로 공급되어야 할 에너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근육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면 근육 세포막이 손상받게 된다. 이때 근육 세포내 물질인 마이오글로빈, 칼륨, 인 등이 방출되어 체액으로 유입되어 신장이나 심장 등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횡문근융해증의 원인은 크게 외상성 요인(타박상, 지속적 압력)과 비외상성 요인(알콜 및 약물 남용, 간질발작 등)으로 구분된다. 국내 연구에 따르면 횡문근융해증의 주된 원인은 외상성 근손상(62%)으로 알콜 남용(6%), 간질 발작(6%) 등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횡문근융해증은 모든 사람에게 생길 수 있으나 평소에 운동을 잘 하지 않다가 고강도 운동을 지속한 경우나 더운 날씨에 충분한 수분 보충 없이 활동을 지속하는 경우에 잘 생길 수 있다.

특히 스피닝과 크로스핏 같은 저중량으로 장시간 반복적인 운동을 하거나, 고중량의 근육 운동을 짧은 시간 안에 반복할 경우 횡문근융해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날씨가 더워지는 여름을 앞두고 횡문근융해증 환자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한 병원의 운동유발성 횡문근융해증의 임상 양상을 분석한 결과, 전체 횡문근융해증 환자(142명) 가운데 여름철(6~8월, 47명, 33.1%)이 가장 많았다. 이어서 가을(9~11월, 38명, 26.8%), 봄(3~5월, 29명, 20.4%), 겨울(12~2월, 28명, 19.7%) 순서로 더운 계절에 더 많은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유발성 횡문근융해증의 임상 양상 및 혈청 크레아티닌에 따른 차이, 대한가정의학회지 2017)

최근 3년간 횡문근융해증으로 중앙대병원을 찾은 월별 환자를 확인한 결과도 6월과 8월 사이에 환자수가 133명으로 전체 환자(424명)의 31.4%를 차지 해 다른 계절과 비교해 여름철에 환자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름 31.4% > 봄 26.2% > 가을 22.4% > 겨울 20%)

중앙대병원 신장내과 신정호 교수<사진>는 “평소 훈련되지 않았던 근육에 갑자기 높은 운동 요구량이 주어지게 되면 근육이 이를 따라가지 못해 근육 세포 손상으로 인한 횡문근융해증이 발생하는데, 실제로 몸만들기에 집중하는 여름철에 운동유발성 횡문근융해증으로 내원하는 환자가 증가한다”며 “횡문근융해증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면 이에 따른 신장 손상의 예방을 위해 빨리 병원을 내원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횡문근융해증의 전형적인 증상은 극심한 근육통과 국소부위 부종, 전신 무기력감 그리고 진한색의 소변을 보이는 것이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운동 후 느끼는 일시적인 근육통이나 감기몸살로 여겨 방치하기 쉽고 또 운동으로 뭉친 근육통으로 생각해 운동을 지속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상태로 증상이 악화될 경우 부종과 함께 적갈색의 진한 소변이 나타나게 되면 합병증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횡문근융해증의 기본적인 치료법은 충분한 휴식을 통해 근육 손상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수액 요법과 전해질 보충을 통해 근손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체액 및 전해질 이상을 교정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횡문근융해증의 주요 합병증인 급성 신부전증의 예방을 위한 집중 치료와 신장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 자칫 투석 치료가 필요한 신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 초기의 집중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횡문근융해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갑작스럽게 높은 강도의 운동보다는 단계적으로 운동의 양과 강도를 늘려야 하며 기온과 습도가 너무 높은 곳에서 운동할 경우 횡문근융해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신정호 교수는 “운동시 근육 손상으로 유리되는 물질이 소변을 통해 적절히 배설될 수 있도록 충분한 수분섭취와 전해질 보충이 가능한 음료를 마셔야 한다”며 “만약 횡문근융해증의 증상이 발생하게 되면 초기에 병원을 방문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