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결핵 신환자 증가폭 감소

2만3,821명으로 8년 연속 줄어, 65세 이상 비중은 더 늘어

2020-03-23     최관식 기자

지난해 결핵 신환자가 2만3,821명으로 8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다만 전체 신환자 가운데 65세 이상 비중이 절반에 가까워 조기 검진 필요성이 더 부각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결핵예방의 날’인 3월 24일을 앞둔 23일 ‘2019년 결핵 환자 신고현황’을 발표했다.

이 현황에 따르면 2019년 신규환자는 2만3,821명(인구 10만명당 46.4명)으로 전년의 2만6,433명(인구 10만명당 51.5명)에 비해 2,612명(9.9%) 감소했다.

연도별 결핵 환자 추이

이는 2011년 이후 8년 연속 감소, 최근 10년간 전년 대비 최대폭으로 줄어든 실적이다.

또 올해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결핵환자 통계를 신규 산출한 결과 환자수가 2,207명(인구 10만명당 148.7명)으로 건강보험 가입자 2만1,221명(인구 10만명당 41.6명)에 비해 발생률이 약 3.6배 높았다.

또 65세 이상 어르신 환자수는 1만1,218명으로 전년 대비 811명(10.7%) 감소했으나, 고령화·암 등 면역저하 기저질환 증가에 따라 전체 결핵 신환자 중 어르신이 차지하는 비율은 47.1%로 전년의 45.5% 대비 증가했다.

80세 이상 초고령 어르신의 결핵 신환자는 2017년(4,711명), 2018년(5,066명) 늘다가 2019년 5,004명으로 전년 대비 62명(8.2%) 줄었다.

또 복약기간이 길고 약제부작용으로 인해 결핵치료 및 관리가 어려운 다제내성 환자 수는 68명으로 전년 대비 17명(33.3%) 증가했다.

연도별 결핵 신고 현황(2001-2019)

외국인 결핵환자 수는 1,287명으로 전년 대비 111명(7.9%) 감소했다. 이는 국내 외국인 증가로 2016년부터 결핵고위험국가 장기체류(91일 이상) 비자신청 외국인 대상 결핵검진을 의무화한 결과다.

그러나 외국인 다제내성 결핵환자 수는 107명으로 전년 대비 19명(21.6%) 증가했다.

이번 신고현황 분석을 통해 질병관리본부는 고령화 및 암 등 기저질환 증가로 늘고 있는 노인결핵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무증상 결핵 치료 중 부작용 발생 빈도가 높은 특성을 고려해 적극적인 조기검진과 철저한 복약관리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연 1회 흉부X선 검진 홍보를 강화하고 1:1 복약상담을 위한 결핵관리전담요원을 보건소 및 의료기관에 추가로 배치해 환자를 철저히 관리해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결핵 발병 고위험군인 의료급여 수급권자 등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조기발견 및 치료완료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69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대한결핵협회와 함께 65세 이상 의료급여수급권자(17만6,000명)·재가와상 어르신(6만4,000명)과 노숙인·쪽방주민(1만8,000명) 등 취약계층 대상 전국 찾아가는 결핵검진사업을 오는 4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발견된 환자는 취약계층을 전담해 치료하는 결핵안심벨트 의료기관과 알코올중독·정신질환 등을 함께 앓고 있는 환자 치료가 가능한 서울서북병원 연계를 통해 사후관리를 철저히 지원할 계획이다.

또 늘고 있는 국내 체류 외국인의 다제내성 결핵 예방관리 강화를 위해 입국 전 장기체류(91일 이상) 비자 신청 시 결핵검진을 의무화하는 결핵 고위험국가(현 19개국)를 보다 확대하고, 이들 국가의 결핵 유소견자에 대해서는 내성검사를 의무화하는 등의 정책 강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2019년 결핵환자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결핵 발병 위험이 높은 65세 이상 어르신, 의료보장 취약계층, 외국인에 대한 결핵예방관리 정책을 보다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2019년 범정부 차원의 ‘결핵 예방관리 강화대책’을 확정했고, 2020년 범정부·전문 학회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를 통해 확정된 강화대책이 철저히 이행될 수 있도록 점검해 나가 2030년까지 결핵을 조기퇴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