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기증 활성화 위해 병원 및 의료인 나서야

공종조직은행 설립 통해 인체조직 공적 관리체계 구축으로 새로운 변화 시작돼

2016-05-03     박현 기자
장기기증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장에서 직접 부딪히고 가장 큰 수혜를 받고 있는 병원과 의료인들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와 한국인체조직기증원은 5월2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공공조직은행 설립을 계기로 인체조직 이식재의 공익성 및 비영리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인체조직기증원 전태준 상임이사는 '국내 인체유래물 공적 관리체계의 발전적 방향 제시'를 통해 “기증문화 확산을 위해서는 정부가 나서서 기획·홍보·대외협력 등의 기구를 설립하고 의사 및 의료기관의 주도적인 책임이 필요하며 통합 발굴기관의 지도 및 감독과 혈액원과 같은 공공 조직은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 이사는 “인체조직법 개정(2016년 2월)에 따른 공공조직은행의 설립을 통해 △필수 이식재의 공급확대 △비급여 품목의 급여전환 노력 △희귀 이식재의 수급 안정성 확보 △맞춤형 이식재 공급 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체조직법이 개정되면서 인체조직의 채취부터 가공 및 분배까지 담당할 공공조직은행 설립이 법으로 명시됐다.

이에 그동안 민간업체에서 수입 및 가공을 담당해 '영리목적의 상품'이란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인체조직의 공공성 확립 및 비영리화가 탄력을 받게 됐다.

전태준 이사는 향후 설립될 공공조직은행에서는 인체조직의 비영리적 가공이 이뤄져 기증자의 숭고한 정신을 전달할 수 있는 인체조직 가격 및 분배체계가 확립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 상임이사는 "유럽에서는 인체조직을 비영리단체에서 관리한다. 미국 역시 6개 대형업체 중 5개 업체가 비영리단체다. 이는 인체조직을 영리로 취급해서는 곤란하다는 인식 때문"이라며 "그럼에도 우리나라는 처음부터 영리업체 주도로 인체조직을 가공, 배분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향후 공공조직은행이 설립되면 영리성을 배체한 가격 및 분배체계를 정립하고 수요가 많은 품목의 공급이 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 상임이사는 "부족한 사후 기증자 수를 늘리고 영리 가공업체들이 급여품목에서 철수하는 추세인 필수 이식재의 가공과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 피부와 혈관, 심장판막과 신경 등 희귀 이식재와 전략적 품목의 공급이 필요하다"며 "조직의 직접분배를 확대하기 위한 의료기관 네트워크 구축도 필요하다. 재고관리 및 이식재 주문 시스템의 전산화를 통한 현재의 복잡한 다단계 유통구조도 개선해나가야 할 것"이라 말했다.

공공조직은행이 설립돼 운영되면 환자들은 이전보다 대폭 낮은 가격에 조직을 수혜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 민간업체 가공을 거치면서 '이윤을 남겨 판매되는 영리 상품'이란 꼬리표 역시 뗄 수 있을 전망이다.

이동익 신부는 "환자들이 지금까지 지불했던 비용의 3분의1에서 4분의1까지도 가격이 내려갈 것이다. 굉장히 낮은 가격에 조직이 공급될 것"이라며 "현재는 민간 가공업체가 인체조직의 70∼80%를 수입해 비싸게 판다. 공공조직은행은 민간업체들만 존재했던 조직기증 시장의 첫 번째 비영리법인으로서 기증자의 숭고한 뜻을 기리는 동시에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조직은행의 역할을 다하게 될 것"이라 말했다.

유명철 인체조직기증원 이사장은 "조직기증은 국가사업이 돼야 한다. 지금에라도 법 개정이 돼 올바른 길을 가게 돼 다행"이라며 특히 병원과 의료인들의 많은 협조를 요청했다.

유 이사장은 "조직기증으로 가장 많은 혜택을 받는 기관은 병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의료인들이 마치 조직기증과 이식은 남의 일이라고 방관해 왔다"며 "이제는 그런 사고방식을 없애고 함께 협력해야 조직기증이 제도로 정착될 것"이라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