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근육무력증 병리기전 밝혀져
상태바
중증근육무력증 병리기전 밝혀져
  • 박현
  • 승인 2004.09.24 15: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의대 신경과 성정준 교수
그동안 베일에 쌓여있던 신경과 질환인 중증근육무력증에 대한 병리기전이 조금씩 밝혀지고 있어 향후 연구결과가 주목된다.

서울의대 신경과 성정준 교수는 최근 열린 서울대병원 신경과 보수교육에서 ‘SNMG(음성혈청반응 중증근육무력증)의 특성’ 연제를 통해 『국내 중증근육무력증 환자의 38%에서 MuSK 항체가 발견돼 병리기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에도 10만명당 20명꼴로 발생하는 중증근육무력증은 신경과 분야의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으로 신경근육이음부의 이상에 의해 운동시 힘이 빠지거나 사물이 두 개로 보이고, 삼키기 어려움 등의 임상소견을 보이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명확한 병리기전이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관련 학계에 따르면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가 발견되지 않고 있는 20%군인 SNMG에서 MuSK(muscle specific kinase)에 대한 항체가 발견돼 병리기전 파악에 새로운 분수령을 맞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성 교수가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MuSK에 대한 항체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38%에서 항체가 발견돼 중증근육무력증 병리기전과 임상특징 및 진단에 진전을 보이고 있다는 평가이다.

성 교수는 MuSK는 신경근육접합부에서 만들어져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신경근육접합부로 모이게 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성정준 교수(보라매병원)는 『MuSK 항체가 음성인 환자군과 아세틸콜린 항체 양성인 환자군 등의 특이 환자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이들 환자군에 대한 공동연구가 진행중이며 한국도 이에 참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성 교수는 『중증근육무력증 연구의 핵심은 아세틸콜린 이외의 표적 항원을 찾는데 있다』고 언급하고 ꡒ앞으로 MuSK 항체 양성인 SNMG 병리기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62%를 차지하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SNMG의 병리기전 연구가 활발히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대병원 신경과(과장 이광우)는 이번 보수교육 주제인 ‘근신경계 이음부 질환의 최신지견’ 등을 비롯해 매년 관련 분야의 최신지견을 중심으로 교육의 장을 마련해 국내 신경과 전문의들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박현ㆍhyun@kha.or.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