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폐색전증 예방 위한 노력 필요
상태바
임산부 폐색전증 예방 위한 노력 필요
  • 박해성 기자
  • 승인 2013.12.13 1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만 후 조기보행 및 의료용 압박스타킹으로 예방
국내 임산부 1만명 당 2.3명 꼴, 미국 모성사망원인 10%
대표적 임신합병증으로 꼽히는 ‘폐색전증’이 우리나라 임산부의 경우 1만명 당 2.3명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며 예방을 위한 노력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늦은 결혼에 따른 고령출산, 불임시술, 제왕절개 증가로 폐색전증 위험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며 의료용 압박스타킹 착용 및 수술 및 분만 후 조기보행 등의 예방노력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이 조언하고 있는 것.

제일병원 주산기센터 류현미 교수팀(책임연구원 이민영 전임의)은 지난 8년간 제일병원에서 분만한 5만7천92명을 대상으로 폐색전증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13명의 임산부가 진단을 받으며 1만명 당 2.3명(0.023%)의 발생빈도를 나타냈다. 이 중 모성사망은 한 건 발생해 7.7%의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폐색전증이란 주로 다리 쪽 동맥에서 생긴 응고된 혈액덩어리가 폐로 들어가는 혈관을 막아 생기는 질환으로 병이 갑작스럽게 생겨 치명적일 수 있어 매우 위험한 질환이다. 이 질환은 미국에서도 한 해 50만명 정도가 발생하고, 모성사망 원인의 약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발생률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해 류현미 교수는 “임산부는 임신을 하게 되면서 바뀌는 몸의 생리적인 변화들이 분만 시 출혈을 대비해 응고인자들이 증가하면서 혈전이 생기기 쉬운 상태가 돼 폐색전증 위험도가 높아진다”며 “평소 건강한 임산부라도 폐색전증이란 질병은 갑작스럽게 생길 수 있음을 인지하고 평소에도 폐색전증을 예방하려는 노력들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폐색전증 예방을 위해서는 임신 말기 몸의 부종이 심한 여성들이나 수술로 분만해야 하는 임산부들의 경우 다리로부터 생기는 색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의료용 압박스타킹을 신거나 수술 후나 분만 후에 조기보행하는 것이 좋다.

폐색전증의 임상증상 자체가 전형적인 증상 없이 모호한 경우가 많고 호흡곤란, 어지러움 등 일반 임산부들의 증상과 비슷한 경우가 많아 진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 한번 발생하게 되면 약물치료로 되지 않아서 수술로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비만, 고령산모, 다분만산모, 혈액응고 질환, 이전의 수술병력 등이 있는 고위험 산모의 경우에는 임신 중 전문의와 상의해 폐색전증에 대한 충분한 교육과 함께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류현미 교수팀의 이번 연구는 2013년 주산의학회 추계학술대회에 발표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