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병원의 위기와 대응과제
상태바
중소병원의 위기와 대응과제
  • 병원신문
  • 승인 2013.05.28 11:39
  • 댓글 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병원경영연구원 연구실장 이용균

 1. 머리말

   최근 중소병원들은 의원과 대형종합병원의 틈새에서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자주 보고되고 있다. 그 동안 의약분업의 여파로 인한 진료의사의 이탈, 의사 및 간호사 인건비의 증가 및 환자감소로 인한 병상가동율의 저하 등으로 경영고통을 겪었다.

  또한, 지역중소병원의 경우 의원과 외래환자 본인부담금의 차등으로 외래환자들의 내원수가 감소하여 의료수익의 저하를 경험하고 있다. 이 밖에 의료 전달체계의 정착 실패, 대형병원의 증가 등으로 중소병원의 경영 상태는 만성적 경영악화를 경험하고 있다. 중소병원의 경영난에 대해서는 병원협회의 병웝급 의료기관의 도산현황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표 1] 최근 5년간 의료기관 폐업현황(단위:개소)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소계

2011년상반기

 

폐업

폐업

폐업

폐업

폐업

 

폐업

종합병원

10

8

15

7

13

53

9

병원

95

113

117

115

135

575

77

요양병원

29

50

121

77

114

391

67

의원

1,844

1,920

1,894

1,487

1,559

8,704

923

 주) 2009년도 평균 폐업율 9.4%, 2010년도 10.8% 수준임

자료: 국민건보험공단(2011)(병원부문 부분발췌]

 

특히, 의약분업이 시행된 이후 300병상 미만의 개인병원의 도산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유형별로는 병상규모가 작을수록 도산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병상규모별 의료기관 폐원률(2009년도)

 

구분

폐원률

100~199병상

6.2%

100병상 미만

9.3%

300병상 이상

2.8%

 

 현재 300병상 이하의 병원급 의료기관수는 전체 병원수의 84%를 차지하고 있는데, 중소병원급 의료기관의 도산이 높은 이유는 주로 경영상의 악화가 주요인으로 볼 수 있다. 국내 중소병원이 안고 있는 경영상의 문제점은 병원내적, 외적요인으로 구분해 볼 수 있겠다. 먼저, 병원의 내적 요인으로는 의사 및 간호직 인력의 부족현상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의 증가현상이다.

  특히 중소병원의 경우 인건비 비중의 전체 원가에서 50%를 넘어서고 있다. 이 처럼 높은 인건비 부담은 결국 병원경영에 부의 영향을 작용하여 중소병원의 차입경영의 비율이 57%로 차입경영에 의존할 만큼 운영자금 압박을 받고 있다.

  그리고 병원외적 요인으로는 낮은 건강보험수가 인상인데, 2012년 1.7%, 2013년도 2.2%로서 물가인상률(2013년도 예상물가인상률 KDI 2.4%, IMF2.7%)에 미치지 못해 중소병원 CEO입장에서는 향 후 병원경영에 심각한 회의를 가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2. 중소병원의 현황 및 이슈분석

   2.1 중소병원의 위기원인

 □ 의료전달체계의 실패

   각급 의료기관별로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의 환자에 대해서 적정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정부에서는 건강보험제도를 도입하면서 1차·2차·3차 의료기관을 구분하고 진료의뢰서를 통하여 의료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고도의 중증환자의 진료를 수행토록 되어 있는 종합전문요양기관인 3차 의료기관으로 모든 수준의 환자들이 집중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급종합병원의 의료인력·시설 등 자원의 집중현상과 함께 높은 진료서비스를 추구하는 환자들의 욕구 변화로 종전의 의료전달체계는 붕괴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환자의 입장에서 현행 의료전달체계에는 의료기관의 종별 역할분담이 명확하지 않고, 가격차이도 상급종합병원과 중소병원의 차별성이 없는 실정이다. 즉 1, 2, 3차 진료기관별 서비스 차별성의 부재로 중소병원의 위상(positioning)이 모호한 실정이다.

   이러한 국내 의료기관간 기능 미분화와 가격 차별성이 없는 의료전달체계는 결국 적정의료 제공의 실패와 보건의료자원의 비효율적 활용 증대 등으로 의료전달체계의 붕괴되었고, 상대적으로 경쟁우위가 약한 중소병원의 경영악화를 빚는 요인이 되고 있다.

 □ 건강보험 수가체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표한 ‘응급의료기관 원가모형 개발’ 연구결과에 따르면 응급의료기관 전체 원가보전율은 72%이며, 건강보험 급여행위 원가보전은 68.8%에 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2013년 경영기준으로 볼 때 병원급 의료기관의 점수 당 환산지수는 70.8원으로 추정되었지만 2013년도 환산지수는 67.5원으로 결정되었다.

  이처럼 매년 의료기관은 적정수가를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병원들은 저수가로 인한 수입부족에 대한 자구책으로 비급여진료를 개발하고 진료의 양적 증대 동기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처럼 낮은 수준의 건강보험수가는 건강보험재정을 보호하고 환자들의 부담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 것이 사실이지만, 이로 인한 부작용 또한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즉, 건강보험의 재정안정이 보험제도 운영의 주요 목표로 인식됨에 따라서 건강보험수가가 낮게 책정되었지만, 낮은 진료 질과 양적 증가현상 등 병원서비스의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낮은 건강보험수가는 병원의 수지에 직접적 영향을 미쳐 상대적으로 규모가 영세한 중소병원들에 미친 영향은 더욱 지대하여 지방 중소병원들은 도산을 직면하게 되었다.

 □조세상의 불이익

   중소병원 경영은 급격한 환경변화와 아울러 비과세·감면 축소의 조세정책방향으로 인해 현실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의료산업에 대한 최근 조세제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2000년 12월 조세특례제한법이 개정되어 중소병원의 소득세 및 법인세의 10% 감면대상에 의료업이 포함되었다.

  또한 연구·인력개발비의 세액공제 및 연구·인력개발준비금 손금산입 허용 등의 혜택이 주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의료취약지역의 병원신설에 대한 세액감면 조항 및 의료기기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조항이 2000년 12월 중복적용을 이유로 폐지되었으며, 첨단의료기기에 대한 관세감면 조항도 2003년 12월 실효성을 이유로 폐지된 바 있다.

  또한, 현행 의료법상 의료법인은 학교법인병원 및 지방공사의료원 등과 같이 동일한 비영리 의료기관 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세제혜택을 못 받고 있다.

   즉, 비영리법인임에도 불구하고 상법상의 영리법인처럼 법인세를 납부하고 있어 병원의 수익성 저하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높은 의료비용 부담

 의료사업수익 대비 의료원가율은 모든 규모의 의료기관에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의료기관은 95.9%이지만 300병상 이하의 병원급의 경우 원가율은 100.1% 적자상태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병원경영통계, 2010).

  따라서 중소병원들의 경영상태가 종합전문요양기관이나 병원에 비해 매우 열악한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의료 원가율 중 가장 비중이 높은 인건비 비율의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2010년 전체병원의 인건비 비율은 41.2%인데 반하여 300병상 이하 병원급은 52.5%로 10%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이 밖에 중소병원은 전문의 및 간호사 수급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일부 전문의 구인난 및 간호사 인력부족으로 인한 중소병원의 경쟁력 부족이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경영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3. 중소병원의 전문화

  3.1 전문병원 시범사업

  보건복지부의 전문병원의 지침에 의하면 전문병원이란 선택·집중된 양질의 표준화된 의료 또는 고난이도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병원으로 제시하고 있다.

   2005년 7월부터 1년간 전문병원제도에 대한 시범사업은 전문병원의 제도도입 필요성에 사회적인 공감대를 기초로 정부차원의 시범사업이 진행되었다.

  즉, 그 동안 대형병원 중심의 의료소비 집중화 현상과 전문적인 진료욕구의 증대, 의료시장의 경쟁심화 등으로 중소병원의 효율적인 대응방안으로 전문병원제도가 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전문병원의 도입의 근거로서 국민건강보험법 제40조 2항에 의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시설·장비·인력 및 진료과목 등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요양기관을 종합전문요양기관 또는 전문요양기관으로 인정할 수 있다’는 규정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중소병원급 의료기관의 특성화와 전문화는 사회적인 편익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병원경영연구원에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3차진료기관에서 K-DRG 분포군에서 진료난이도가 낮은 질병군(10.2%)을 종합병원 또는 병원급 전문병원에서 진료를 수행한 경우 절감액은 최소 536.9억원, 최대 2,066.7억원으로 추계되었다(병원경영연구원, 2006).

   이 밖에 전문병원의 경제적인 효과에는 내원환자들의 교통비용, 입원대기 비용절감 등 비 정량적인 효과를 포함하면 사회적 편익은 추계금액보다 보다 높을 것으로 추산되었다.

 전문병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내원전문병원’의 진료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조사결과 72.5%가 만족한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즉, 특화된 진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병원의 내원환자들의 진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병원’제도의 확대시행에 대해서 찬성여부에 대해서는 78.5%로 높게 나타났다.

3.2 외국의 전문병원

  일본의 경우 다수의 중소병원들이 전문화 및 특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갑상선 전문,혈액전문, 당뇨병 전문, 알레르기 전문, 동양의학 전문 등으로 세분화 되고 있다. 이러한 전문 병원은 대규모 전문병원과 소규모 전문병원으로 나누어진다.

  이중 대규모 전문병원은 대부분이 국공립병원이며, 소규모전문병원은 주로 정형외과, 산과, 이비인후과 등을 표방하는 50병상 내외의 단과 전문병원이다.

  일본 전문병원의 경우 전문병원에 대한 가산은 없으며, 따라서 일본에서의 전문병원은 수가상의 우대 보다는 병원이 살아남기 위한 포지셔닝(positioning)전략의 일환으로서 전문병원으로 전환하고 있다

   미국의 전문병원은 시장에서 병원비(facility fee)를 각 병원수준에 따라서 보험회사와 다른 조건으로 계약하고 있다.

  즉, 의료시장의 시장원칙(market principle)에 따라서 계약수가를 차등화 하고 있다. 그 예로서 정형외과, 부인과, 심장병 질환 등 어떤 전문적인 시술을 독점으로 할 수 있는 경우 전문병원이나 의사의 경우 전문화병원(centers of excellence)으로 계약하여 보험회사로 부터 많은 환자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전문병원은 제공되는 진료수준에 따른 성과급(pay for performance)으로서 수가가 결정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4. 결론

  최근 보건복지부는 중소병원의 기능 재정립을 위한 TF(task force)을 우영하고 올해 말까지 TF에서 지속동반성장을 위한 지방중소병원 중점 추진과제를 개발하고 있다. 즉, 지방 중소병원의 지역거점화, 공공의료기관과 협력서비스를 강화하고 지역병원의 센터진료기능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병원급의 기능 명확화를 통해서 해당 종별 기능에 맞는 역할과 수행을 통해서 지방의료공급 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정책목표로 표명하고 있다. 그 동안 복지부의 중소병원과 관련한 정책목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기관 종별 기능의 명확화이다. 의료기관의 종별 기능을 명확하게 규정하여 의료기관의 종별 균형발전을 도모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의료기관 종별 표준업무를 고시하고, 이 표준업무를 토대로 환자 의뢰체계와 시설기준 등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둘째, 병원의 전문화‧지역거점화이다. 병원이 중간허리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전문화, 지역단위의 거점병원으로 육성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의료권의 설정하고 의료취약지를 고시하며 해당 지역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국립대병원과 인적 교류 등을 실시하고 수가우대 조치 등을 정책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전문병원 지정제도를 도입하여 중소병원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양한 특화병원(기능특화병원, 협력진료 특화병원) 등 일본식 특화병원 모형을 정책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셋째, 지방의료기관의 지역거점 및 진료센터화를 위해서 진료기반을 확대하고, 의료기관의 인증제 및 병상수 관리체계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특히 , 지역별 병상수급평가제 도입 등을 통해서 병상수급 관리를 내실화를 도모한다는 내용도 표명하고 있는데 이는 지역별 병상총량제와 연계되어 많은 논란이 예상된다.

   따라서 중소병원의 입장에서도 이와 같은 외부환경 변화 중에서 영향력이 큰 정책변화에 대한 변화관리와 대응의 필요성이 높아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병원의 대외적으로 변화하는 환경-특히 의료정책변화-에 대비한 변화관리를 위한 부서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민간병원이 대부분인 우리나라에서는 전문병원의 지정여부, 의료기관 인증제도 등 병원정책이 병원경영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정규모 이상의 중소병원에서는 외부정책 및 경영환경 변화관리를 위한 전담부서(비전담 조직포함)가 필요하다. 왜냐 하면 병원경영은 타 산업에 비해서 정부정책에 가장 영향력을 많이 받는 산업이며, 2013년 한해에는 다양한 정책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4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Reynaldo 2015-04-25 16:49:12
You made some good points there. I did a search on the topic and found most persons will approve with your website.

Spencer 2015-03-19 23:41:52
This is often a amazing blog, could you be interested in doing an interview concerning just how you produced it? If so e-mail me and my friends!

Charlie 2015-03-11 00:41:39
wow, awesome article.Thanks Again. Awesome.

Jan 2015-03-03 09:07:24
You really helped me comprehend this topic with your well researched post, thanks for all the hard work.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