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보건의료정책
상태바
북한의 보건의료정책
  • 윤종원
  • 승인 2005.06.24 09: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클릭-북한리포트
북한의 보건의료정책은 예방의학, 무상치료제, 의사담당구역제 등을 기본정책으로 표방하고 있다.

예방의학의 기본은 전염병을 비롯한 모든 질병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대책수립과 위생환경 개선사업 등에 모든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토록 지도한다는 것이다.

무상치료제는 북한이 대내외에 선전해 온 것으로 1960년 최고인민회의 제2기 7차 회의에서 모든 주민들을 대상으로 무상치료를 결정했으나 실제로는 의약품 부족, 의료시설의 낙후 등으로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의사담당구역제는 전주민이 담당구역 의사들로부터 체계적이고 충분한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목적하에 1969년부터 시,군,구역에서 실시하고 있는데, 의사 1명이 도시의 경우 1,200명 농촌의 경우 1,500명의 주민을 담당해야 함으로 효과적인 진료가 어려운 실정이다.

북한의 의료시설은 크게 일반병원과 특수병원으로 나뉜다. 그외에 위생, 방역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위생방역소가 있다.

주민들이 진료를 받으려면 1차 진료기관인 리,동 진료소에서 먼저 진료를 받아야 한다. 2차 진료기관인 시,군급 인민병원은 1차 진료소에서 치료후 송증을 발급받은 환가제 대해서만 진료 받을 수 있으며 3차 진료기관인 도 인민병원 및 대학병원은 2차 진료기관에서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가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중앙당 과장급 이상 간부, 내각 과장급 이상 간부, 1급 기업소 당비서, 지배인들은 간부진료과 대상으로 직접 도 인민병원이나 중앙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지역별 분포를 보면 직할시와 도에는 대학병원과 중앙병원 각각 1개, 시,군,구역에는 인민병원 1-2개, 리,노동자구에는 인민병원 또는 진료소 1개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도, 시, 군 인민병원에는 우리의 응급실에 해당하는 구급과가 있는데 교통사고나 기타 사고시 가까운 병원에서 구급치료를 받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들 일반병원과는 별도로 평양에는 김정일 가족과 당의 최고위급 간부들이 다니는 봉화진료소와 내각가 당 고위급이 이용하는 남산병원 등 특수병원이 있다. 그리고 희귀 질병을 주로 취급하는 적십자병원과 여성전용인 평양산원 등이 있다.

이밖에 11호병원(인민무력부 병원), 인민보안성병원, 국가보위부병원, 호위사령부병원, 철도성병원이 있어 여기에 소속된 군인, 근로자들이 치료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중앙과 각 도(직할시)에 간염요양소, 결핵요양소, 49호병원(정신병원)이 각각 1개씩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