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일 피해 치료 여건, 남북전쟁 때와 비슷
상태바
해일 피해 치료 여건, 남북전쟁 때와 비슷
  • 윤종원
  • 승인 2005.01.11 1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아시아 지진ㆍ해일 피해자를 치료하기위한 여건이 19세기 미국 남북전쟁 때와 비슷하다고 미국 ABC 방송 인터넷 판이 7일 전문가들의 말을 빌려 보도했다.

부상자 치료를 위한 야전병원과 의료 기관 장비는 열악하기 그지 없으며, 전기공급이 불안정하고 항생제도 확보되지 않는 등 가장 기본적 의료 도구와 소수 전문가들만 구비돼 있을 뿐이다.

미 포틀랜드 소재 오리건 보건과학대학의 마틴 슈라이버 박사는 "현재의 쓰나미피해 지역 치료 상황은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했던 남북전쟁 같은 전시, 항생제가 개발되기 전 큰 부상자 치료에 절단 요법이 주로 사용됐던 시절을 연상시킨다"고 현상황을 전했다.

이처럼 대규모 환자가 발생하는 비상사태시 의료진은 치료 우선 순위에 따라 부상자를 분류하는 방법을 선호한다.

이런 부상자 분류법의 목표는 환자를 ▲ 스스로 회복 가능한 경우 ▲치료를 해도 사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 치료 후 호전 가능성이 있는 경우 등으로 나눠 생존자를 최대한 늘리겠다는 것.

이에 따라 치료를 해도 숨질 것으로 예상되거나 스스로 회복 가능한 것으로 분류된 부상자들은 의료진의 관심을 거의 받지 못한다.

미 뉴올리언스 소재 튤레인의대의 노먼 맥스웨인 박사는 "재앙적 상황에서 의료 전략은 모든 환자를 치료하는 것에서 생존자를 치료하는 것으로 바뀐다"면서 "이런 부상자 분류 전략은 한정된 자원 아래 대규모 인명피해가 났을 때 동원하는 전략이며, 이는 매우 슬픈 일"이라고 지적했다.

맥스웨인 박사는 또 "항생제가 없는 상황에서 부상자의 상처 부위를 잘라내는 것이 패혈증으로 사망하도록 방치하는 것보다 낫다"면서 "이는 항생제가 개발 되기 전의 치료 관행"이라고 말했다.

남아시아 지진ㆍ해일 피해 지역의 의료 상황이 이처럼 낙후한 이유로는 의약품과 부상자를 실어나를 사회간접자본이 제대로 갖춰지지 못한 점도 꼽힌다.

보스턴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수전 브릭스 박사는 "가장 큰 문제는 부상자와 의약품을 제때 실어나르고 공급할 수 있는 사회 기반시설이 갖춰지지 않았다는 점"이라며 "불행히도 이 지역은 의료 체계상 만성적 문제를 안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