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치료제인 옵디보의 HER2- 위암 1차 치료 급여 확대가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한국오노약품공업과 한국BMS는 9월 6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위암 1차 진단 및 옵디보 치료 접근성 개선’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옵디보(성분명 니볼루맙)는 HER2- 위암 영역에서 약 20년 만에 승인을 받은 1차 치료 옵션으로, 2021년 6월 면역항암제 최초로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위선암, 위식도 접합부 선암 또는 식도선암의 1차 치료로서 플루오로피리미딘계 및 백금 기반 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으로 국내 허가를 받았다.
이어 국내 허가를 획득한 지 약 2년 만인 2023년 9월 1일부터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위선암, 위식도 접합부 선암 또는 식도선암의 1차 치료에서 HER2 음성이며 PD-L1 CPS 5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급여가 확대됐다.
한국오노약품공업 최호진 대표는 인사말에서 “옵디보가 9월 1일자로 HER2- 위암 환자의 1차 치료제로 급여가 승인되며 위암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이 확대됐다”며 “옵디보는 10여개 암종 환자들의 생명연장에 기여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많은 진료현장에서 최선의 치료효과를 제공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라선영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가 ‘국내 진행성·전이성 위암 1차 치료의 미충족 수요와 옵디보의 임상적 가치’를, 서울대병원 병리과 교수가 ‘위암 바이오마커 병리검사의 새로운 역할과 향후 과제’를 주제로 강연에 나섰다.
라선영 교수는 “오늘날 생존에 영향을 주는 암종은 폐암, 대장암, 위암 등 크게 3가지로, 3개 암종 모두 발생률은 비슷하지만 유병률은 위암이 1위를 차지하는 위중한 질환이다”라며 “40여 년 간 모든 암종의 5년 생존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위암에서는 확연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고, 특히 위암 병기별 생존율을 보면 4기에서는 확연히 낮은 양상(7% 이하)을 나타내며 폐암의 4기 생존율보다 오히려 좋지 않은 상황을 보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암의 치료는 △수술 △항암제 △표적항암제 △면역항암제의 순서로 진행된다. 위암에서 효과가 있다는 표적치료제는 거의 HER2+에서 사용되는 약으로, HER2-에 사용하는 표적치료제는 한정적이다. 이마저도 시간이 갈수록 치료효과가 떨어져 지속적인 치료가 중요하다”며 “HER2-의 생존기간은 1차에서 8개월, 2차에서 5~6개월, 3차에서 3개월 정도로 떨어져 1차에서의 제대로 된 치료가 더욱 중요한 상황이기에 옵디보의 1차 병용치료가 가능해짐에 따라 환자들의 생명 연장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라 교수는 임상3상 결과와 관련해 “옵디보의 병용이 전체생존기간 연장(13.7개월, 14.4개월), 무진행생존기간 연장(7.7개월, 8.3개월)을 보여주었으며, 전체 환자의 반응률도 높고 36개월 간의 안전성 이슈도 없어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또한 이번 급여 확대로 인해 3주 1사이클에 450여 만원을 부담해야 했던 환자들이 20여 만원으로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 점도 매우 고무적이다”라고 강조했다.
두 번째 연자로 나선 이혜승 서울대병원 병리과 교수는 위암 치료 영역에서 병리검사 역할의 강화와 진단 플랫폼 간 호환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이 교수는 “바이오마커는 약제의 치료 반응 및 효과를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맞춤형 항암 치료를 가능케 하는 중요한 지표다”라며 “최근 항암 신약의 급여 적용 과정에서 병리검사 결과가 기준으로 설정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병리검사가 치료 옵션 선택 및 치료 전략 수립 과정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얘기했다.
그는 “옵디보 위암 1차 치료 급여 개시와 동시에 PD-L1 IHC 28-8 PharmDx 진단 플랫폼이 기존에 허가받은 ‘동반보조진단’에서 옵디보+화학요법 병용요법 급여 대상 환자 선별을 위해 ‘동반진단 검사에 준하는 경우’로 사용목적과 수가가 변경됐다”며 “이번에 다행히 약제와 병리검사 급여 개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환자들이 비교적 빠른 시일 내에 급여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여러 암종에서 다양한 신약들이 연이어 등장하고 있는데, 현재 국내 시스템상 동일 암종에서 같은 바이오마커를 검사하더라도 각 약제별로 다른 진단 플랫폼과 진단 시약을 세팅해야 해 효율적으로 검사를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다”라며 “앞서 폐암에서 PD-L1 발현율을 기준으로 급여 대상 환자를 선별할 때 서로 다른 진단 플랫폼 간 호환을 인정한 사례처럼 위암을 포함한 다른 암종에서도 진단 플랫폼 간 호환 인정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