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 병원 정보 초연결 통한 환자 중심 'Smarter' 병원
상태바
[창간특집] 병원 정보 초연결 통한 환자 중심 'Smarter' 병원
  • 병원신문
  • 승인 2023.04.24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성호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병원장
병실 내 MRI·CT 결과 확인, 의료진과 원격 상담·맞춤형 일정 관리
병원 내 모든 정보를 디지털화해 이용할 수 있게 만든 진정한 스마트병원

인구 고령화 및 이에 따른 의료인력 부족, 주기적인 감염병 팬데믹 도래, 건강 및 의료서비스 기대 수준 향상 등 의료 내·외적 환경 변화에 따라 비용효과적이고 최적화된 의료서비스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병원계는 일찍부터 선의의 경쟁을 통해 적극적인 투자와 최첨단 IT 기술을 적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이와는 별도로 정부도 스마트병원 선도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지원사업에 착수, 2020년부터 2025년까지 6년간 총 18개 분야에 대해 매년 30~60억원씩 지원하고 있다. 또 기존의 전통적인 합성화학물질에 기반한 의약품도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치료제로 진화하는 단계에 있다. 미래 헬스케어로의 전환기를 맞아 병원신문은 창간 37주년을 기념, 병원계 및 의료기기·제약 산업계의 판단에 도움을 주기 위해 앞서가는 병원 등의 사례를 통한 각종 정보를 공유하는 특집호를 마련했다. <편집자 註>

이성호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병원장.
이성호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병원장.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은 2012년 개원한 비교적 신생병원으로 개원 후 현시대의 필수 트렌드인 디지털전환을 병원에 적용해 스마트병원으로 거듭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중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RTLS (Real Time Location System)를 이용한 자산관리, 병원이용자와 의료진의 안면인식을 통한 진료프로세스 간소화 및 병원 출입관리, AI 음성인식 의무기록 시스템, 전자처방전, 국내 최초 인터넷 의무기록 신규발급, AI 기반 만성질환자 건강관리 솔루션 도입, 5G기술을 이용한 원격협진시스템구축 등 다양한 디지털전환 작업을 시행 중이며 2022년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 지원사업의 스마트 입원환경 구축 분야에 지원 후 선정돼 환자 중심의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했다.

진정한 스마트병원의 조건 중 하나는 병원에서의 모든 정보는 디지털화돼 관리되고 연결되고 이용돼야 하는 것이다.

또 이러한 정보를 원내뿐만 아니라 원외에서도 다양한 모바일 솔루션 등 IT기술을 이용해 권한을 가진 병원 이용자 누구나 접근이 가능해져야 한다.

이 같은 정보의 연결은 사람과 정보의 연결을 넘어서 사람과 정보와 사물을 연결시켜주고 궁극적으로는 사람과 사람의 연결을 강화시켜주게 된다.

이러한 초연결(hyper-connectivity)은 스마트병원 구축을 위한 기본조건이며 이를 통해 병원운영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며 이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현재 국내의 많은 병원들이 스마트병원을 표방하고 있지만 병원 내에서의 다양한 정보는 주로 의료진 및 병원 직원들에게 제한적으로 연결돼 이용되고 있고 정작 병원의 주된 이용자인 환자 및 보호자와의 연결성은 부족한 실정이다.

AI speaker를 이용한 응급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
AI speaker를 이용한 응급호출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

여전히 환자와 보호자들은 본인들이 알고 싶거나 필요한 정보의 대부분을 의료진이나 병원 직원을 통해 대면방식으로 수동적으로 얻을 수밖에 없고 본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역시 과거의 방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은 2022년도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지원사업을 통해 병원의 의료진 및 직원, 그리고 진료실과 병동스테이션 등의 진료공간뿐만 아니라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환자가 머무는 공간인 입원실까지 병원 정보가 연결되는 초연결을 통해 병원 내에서의 입원환경을 개선시키는 사업을 시행했고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1. 의료진-환자 간 스마트 소통 시스템 구축

- 병실에서의 병원정보시스템의 연결을 통한 소통강화

최근 병원정보시스템의 발전으로 병원 내의 진료실과 병동스테이션 등 원내 공간뿐만 아니라 병원 외부에서도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 다양한 의료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정작 환자가 주로 머무는 병실 내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의료진은 회진 때 환자에게 주로 대화로 필요한 내용을 설명하게 돼 정확한 정보전달이 어려운 경우가 있고 환자나 보호자가 의료정보의 접근이 가능한 진료실이나 병동스테이션으로 이동해 설명을 듣는 경우가 많다.

물론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전으로 병실 내에서 태블릿PC 등을 이용해 의료정보에 대한 설명을 듣는 경우가 있으나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병원 내의 의료진이 병원 외부의 보호자에게 보호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환자의 PACS영상을 설명해주는 모습.
병원 내의 의료진이 병원 외부의 보호자에게 보호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환자의 PACS영상을 설명해주는 모습.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병실 내의 스마트모니터에 병원정보시스템을 연결하는 플랫폼을 구축했다.

이러한 시스템 구축으로 의료진이 회진 중 병실에서 환자에게 PACS영상이나 검사결과를 보여주고 그래프 등을 통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 환자와 보호자는 스마트모니터를 통해 병실에서 필요한 모든 정보를 의료진으로부터 들을 수 있게 됐다.

또한 스마트모니터와 연결된 AI 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병실의 조명이나 스마트모니터를 제어할 수 있게 해 환자의 편의성을 증대시켰다.

위급상황에서는 환자의 음성만으로도 병동의 간호사에게 위험상황을 알릴 수 있게 됐다.
 

- 스마트 화상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의료진과 환자의 소통은 주로 회진때 이뤄지며 전통적으로 회진은 의료진이 병실을 방문해서 환자와 대면면담으로 시행된다.

하지만 이번 코로나19처럼 감염사태나 환자의 격리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전통적인 대면방식의 회진이 불가능해지며 반
대로 의료진의 사정으로 인해 병실방문이 어려워 회진을 못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이에 대면회진이 불가능한 경우 의료진과 환자가 다른 공간에 있더라도 IT기술을 이용해 원격으로 화상연결이 가능한 스마트 화상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을 구축했다. 

환자에게 전달이 필요한 검사결과나 PACS영상 등을 병실의 스마트모니터로 전송해 병실 내에서 환자가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게 돼 의료진과 환자의 연결성이 강화됐다.

이성호 병원장이 환자와 상담하고 있는 모습.
이성호 병원장이 환자와 상담하고 있는 모습.

또한 환자와 보호자는 입원 후 의료진뿐만 아니라 약제팀, 원무팀, 영양팀 등 병원 내의 다양한 부서의 직원들과 복약지도, 진료비 상담 그리고 영양지도를 위해 소통하는 경우가 많고 대개는 담당직원이 병실을 방문하거나 환자나 보호자가 해당부서로 이동해 상담을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의료진과 환자의 스마트 화상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이용하면 병실의 환자와 각 부서의 담당자가 이동 없이 각자의 공간에서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며 상담이 가능하다.

또한 의료진과 환자의 소통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의료진과 보호자 간의 소통이다. 일반적으로는 보호자가 환자의 상태에 대해서 알고 싶을 때에는 병원을 방문해 설명을 듣는다. 

그러나 거주지가 멀거나 보호자가 이동이 불편하거나 또는 감염사태 등으로 병원 출입이 불가능한 경우 등 여러 사정으로 보호자가 병원을 방문할 수 없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병원 외부의 보호자와 병원 내부의 의료진이 화상연결을 통해 PACS영상이나 검사결과 등을 보호자의 스마트폰이나 PC화면에 보여주면서 설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2. 개인 맞춤형 입원생활 관련 정보 제공 & 수집

- 개인 맞춤형 정보제공

환자는 입원 중 본인이 시행 받는 검사 및 처치, 처방받은 주사 및 약제 등 많은 의학적 정보부터 식단, 회진시간, 검사실 위치 정보 등 병원생활과 연관된 많은 정보를 올바르게 제공받아야 한다.

그럼에도 대부분 정보전달이 대면으로 이뤄짐에 따라 누락되거나 불충분하거나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의료진 입장에서도 많은 입원환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필요한 시기에 빠짐없이 전달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질환 관련 설문지의 내용을 환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정보를 입력하면 우측과 같이 EMR에 자동으로 저장됨.
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질환 관련 설문지의 내용을 환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정보를 입력하면 우측과 같이 EMR에 자동으로 저장됨.

특히 실질적으로 환자에게 전달돼야 하는 정보의 대부분은 병원정보시스템 내에 존재하지만 체계적으로 정리돼 있지 않고 이러한 정보가 환자에게까지 연결되지 않아 수동적인 형태로 전달되고 있는 것이 국내 대부분의 의료기관의 현실이다.

본원에서는 디지털전환을 통해 의료정보시스템에 있는 환자에 대한 다양한 처방과 검사시간 등의 정보를 조합해 환자의 1일 스케줄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생성해주는 시스템을 구축했고 이를 통해 단순한 스케줄 제공뿐만 아니라 각 스케줄에 대한 자세한 정보, 즉 혈액검사 시에는 검사의 종류 및 결과까지, 영상검사 시에는 검사실의 위치, 검사에 대한 준비사항, 검사의 부작용 등을, 투약 시에는 약의 모양을 스마트모니터를 통해 제공하고 약의 효능 및 부작용 등을 설명해주어 투약 사고의 예방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했다.

이러한 시스템 구축을 통해 환자들은 병실에서 스마트모니터를 통해 입원생활 중 경험하는 모든 상황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한 환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 증가 외에도 다양한 안전사고 예방에도 도움이 돼 입원생활 안전성을 강화시켜주는 것은 물론 의료진의 업무량 감소로 인한 업무의 효율성 증대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됐다.
 

- 개인 맞춤형 정보수집

입원생활 중 환자는 의료진으로부터 많은 정보를 제공받지만 반대로 본인의 정보를 의료진이나 병원에 제공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입원 중 병원에 제공하는 정보는 환자의 병력 등 기본적인 환자정보와 입원 중 섭취량 및 배설량 정보, 진단 및 치료와 관련된 각종 의료정보(질환 관련 설문지)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정보들은 일반적으로 의료진과의 대면 면담을 통해 수집돼 병원정보시스템에 직접 입력하게 된다. 

본원에서는 정보입력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병실의 스마트모니터나 환자의 스마트폰 등 모바일 장치로 확장했다.

환자로부터 직접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자동으로 병원정보시스템으로 연계돼 저장되면 편리하게 정보수집이 가능해지고 정보누락이 방지되며 의료진의 업무경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환자가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의료진으로부터 상담을 받고 있는 모습.
환자가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의료진으로부터 상담을 받고 있는 모습.

스마트병원의 구축이란 결국 병원시스템의 디지털전환과 의료진과 병원 이용자인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병원정보시스템의 초연결을 통해 조금 더 지능화되고 효율적이고 편리하고 안전한 병원을 만드는 것이다.

이렇게 발전된 기술의 수혜자는 의료진뿐만 아니라 병원 이용자인 환자와 보호자들이 돼야 한다.

이를 위해 이들에게까지 그 편리성과 효율성 그리고 안전성이 도달해야 한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은 이번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이러한 변화와 발전의 첫 발걸음을 내딛었다고 생각한다.

이를 시작으로 앞으로도 다른 여러 기관에서 더욱 발전된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 줄 것으로 기대하며 이를 통해 국내의 모든 병원이 스마트병원으로 나아가길 기대해 본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