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6년 중증외상 주요 발생원인은 운수사고
상태바
최근 6년 중증외상 주요 발생원인은 운수사고
  • 최관식 기자
  • 승인 2023.03.30 09: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질병관리청, 2015~2020년 중증외상 관련 통계 발간
중증외상 환자의 54.5% 사망, 생존자 62.8%는 장애

최근 6년간 중증외상 사고의 주요 발생원인은 운수사고와 추락 등으로 나타났다. 운수사고가 전체 중증외상 사고의 절반을 넘었고, 추락·미끄러짐이 40% 가까이를 차지해 중증외상 원인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또 중증외상 환자 10명 중 5명 이상이 사망했고, 생존자 10명 중 6명 이상에서 장애가 남았다. 다만 지난 6년간 치명률이 11%p 줄어들었고 중증장애율 역시 6.2%p 감소했다.

질병관리청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발생한 중증손상(중증외상, 비외상성 중증손상) 및 다수사상 통계를 발간한다고 3월 30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2019년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사업을 도입해 119구급대가 이송한 중증손상(중증외상, 비외상성 중증손상) 및 다수사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가 및 시·도 단위의 통계를 생산해왔으며, 이번 통계는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과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료연구실을 통해 수행한 2015~2020년까지의 조사 결과로 연도별 비교가 가능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발생한 중증외상 환자는 총 4만8,953명으로, 2015년(6,250명)부터 2019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 2020년(8,435명)에 소폭으로 감소했다.

2015-2020년 성별 중증외상 발생 추이
2015-2020년 성별 중증외상 발생 추이

성별로는 중증외상 환자 중 남자의 비율이 70% 이상으로, 여자보다 매년 2배 이상 많았다. 연령별로는 50대 환자가 가장 많고, 0~9세 환자가 가장 적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외상으로 사망하는 환자는 연 4천명 이상으로, 2020년 기준 중증외상 환자의 54.5%가 사망했다. 생존자 중에서도 62.8%는 장애가 발생했고, 25.4%의 환자는 중증장애가 발생했다.

중증외상 치명률은 2015년 65.5%에서 2020년 54.5%로, 중증장애율 또한 2015년 31.6%에서 2020년 25.4%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2020년 기준 전남(34.1명)이 가장 높고, 서울(8.9명)이 가장 낮았다.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전남 또는 충북이 발생률 1위를 기록했고, 제주 지역이 매년 2위를 유지했다.

기관유형별 중증외상 환자의 이송은 권역외상센터로의 이송이 2015년 5.0%에서 2020년 37.3%로 증가했다. 매년 권역외상센터 개소 수가 증가했음을 고려하더라도, 권역외상센터로 이송되는 비율이 크게 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손상부위는 주로 두부(2020년 40.0%)와 흉부(2020년 36.0%)를 많이 다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영미 청장은 “중증외상은 사망률이 높고, 생존하더라도 장애를 비롯한 후유증 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해 예방대책 마련이 중요하다”면서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통계가 정부기관, 지자체 등의 손상 위험요인 개선 및 국민인식 제고를 위한 방안 마련 등에 다각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