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병원, 장애인 생산품 구매 저조
상태바
국립대병원, 장애인 생산품 구매 저조
  • 오민호 기자
  • 승인 2022.09.20 10: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공부문, 총 물품·용역 구매액의 0.6% 이상 구매 의무
서울대병원 포함 5곳 구매액 ‘0’…공공기관 구매비율 상승과 배치

서울대병원 등 5곳의 국립대병원이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을 전혀 구매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장애인 표준사업장 판로 확대를 통한 안정적 장애인 일자리 제공을 위해 공공부문은 총 물품·용역 구매액의 0.6% 이상을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으로 구매해야만 한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국회 교육위)은 국립대병원 14곳 중 5곳(서울대병원, 전북대병원, 충남대병원, 제주대병원, 강릉원주대치과병원)은 2021년 장애인 표준사업장의 생산품을 전혀 구매하지 않았다고 9월 20일 지적했다.

지난 4월 고용노동부는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총 861개소의 ‘2021년도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 구매실적’을 발표하고 공공기관의 구매액과 구매비율이 매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공공기관인 국립대병원 14곳 가운데 △서울대병원 0% △전북대병원 0% △충남대병원 0% △제주대병원 0% △강릉원주대치과병원 0%(구매액 0원) 등 5곳의 대학병원은 단 1원의 생산품도 구매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경북대치과병원 4.54% △경북대병원 7.66%은 장애인 생산품을 적극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대치과병원 0.05% △충북대병원 0.17% △강원대병원 0.31% △경상대병원 0.33% △부산대병원 0.69% △전남대병원 0.86% △서울대치과병원 1.71%도 적지만 장애인 생산품을 구매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문제를 제기한 강득구 의원은 “상대적으로 노동시장에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의 안정적 일자리 제공을 위해, 공공기관은 법적 구매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면서 “5곳의 국립대병원에서 단 1원의 생산품도 구매하지 않았다는 것은 법정 비율을 달성하려는 의지 자체가 없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장애인 표준사업장은 2021년 기준 총 566개소, 장애인근로자 12,656명이 근로하고 있으며 주요 생산품은 제조물품(마스크, 화장지, 조명기구, 전자부품, 커피, 가공식품, 농수산물 등), 용역서비스(소프트웨어 개발, 청소 및 방역, 의류세탁 등)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